사이버 위협 환경은 생성AI와 자동화 기술의 결합으로 고도화되며 공격자가 수행할 수 있는 기술적 범위와 속도가 크게 확장되고 있다. 공격자는 정찰, 취약점 탐색, 악용, 금전화까지 모든 공격 단계를 자동화할 수 있는 체계를 확보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 탐지 중심 보안 모델만으로는 대응이 어려운 수준의 속도와 복잡성을 유발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공급망, AI 인프라가 상호 연결된 환경에서는 하나의 취약점이 전사적 침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위협의 양적 증가가 아닌 질적 변화가 이미 진행 중이며 2026년은 이러한 변화가 본격적으로 폭발하는 시점으로 사이버범죄가 완전 자동화 산업 구조로 이동하는 전환기가 도래했다고 분석되고 있다.

AI 에이전트 기반 자율 공격 체계 확산

글로벌 보안 기업 트렌드마이크로(Trend Micro)가 ‘2026년 보안 예측 보고서 사이버 위협의 AI화 – Trend Micro 보안 예측 2026’을 공개하며, 내년이 사이버범죄 자동화의 산업화가 본격화되는 시점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생성AI와 에이전트 시스템은 공격자가 자율 침입 캠페인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다형성 악성코드는 스스로 코드를 재작성하여 탐지를 회피하며, 딥페이크 기반 소셜 엔지니어링은 더욱 정교해질 것으로 분석된다. 자료는 이러한 자동화된 공격 모델이 합성 코드, 오염된 AI 모델, 합법적 워크플로우 내부 결함 모듈로 숨겨질 수 있어 탐지 난도가 높아질 것으로 경고했다.

공급망·클라우드·AI 인프라 중심의 구조적 위험 확대

보고서는 2026년 공격자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공급망, AI 인프라를 핵심 공격 대상으로 삼을 것이라고 명시한다. 감염된 오픈소스 패키지, 악성 컨테이너 이미지, 과도한 권한을 가진 클라우드 ID는 일반적인 공격 벡터로 활용될 전망이다. 국가 지원 조직은 양자컴퓨팅 시대를 대비해 지금 수집하고 나중에 복호화하는 전략을 지속 확대할 것으로 나타났다.

랜섬웨어는 AI 기반 생태계로 재편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피해자 식별, 취약점 악용, 협상까지 자동화된 강탈 봇이 활용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공격은 암호화 중심 모델보다 데이터 기반 지속형 모델로 확장될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기업이 기존 암호화 대응 중심 전략만으로는 충분히 대비하기 어려운 환경이 도래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2026년 대응 전략: 전 계층 보안 내재화

트렌드마이크로는 기업이 AI 도입, 클라우드 운영, 공급망 관리 전 계층에 보안을 내재화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자료는 윤리적 AI 활용, 적응형 방어, 사람 중심 감독을 결합하는 기업이 자율화되는 위협 환경에서 회복탄력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또한 보안을 전략적 인프라로 인식하는 조직 문화 전환이 필요하며, 가시성 중심 운영과 검증 기반 자동화가 2026년 이후 기업의 지속 가능성 확보에 필수적 요소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트렌드마이크로의 미래 지향적 위협 연구 책임자인 라이언 플로레스(Ryan Flores)는 “2026년은 사이버 범죄가 완전 자동화 산업으로 자리 잡는 해로 기록될 것”이라며 “AI 에이전트가 인간 개입 없이 취약점을 발견하고 악용하며 수익화하는 시대에 방어 담당자의 과제는 기계가 주도하는 속도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속도, 거버넌스, 지능, 윤리의 균형을 갖춘 보안 체계가 기업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결정하는 기준이 될 것이라며, 자동화 중심 사이버 위협 환경에 대비한 선제적 전략 수립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