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스마트시티 시장이 전기차 확산과 도시 인프라 현대화 흐름에 맞춰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기업의 미국 공공시장 진출이 본격화되고 있다.
AX 전문 기업 LG CNS가 뉴욕시 경제개발공사와 ‘전기차 충전소(EVC) 및 관제 시스템 구축’ 파일럿 계약을, 조지아주 호건스빌시와는 ‘스마트 가로등 및 관제 시스템 구축’ 계약을 각각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LG CNS가 미국 공공시장에 진출한 첫 사례로, 뉴욕 산업단지인 브루클린 아미 터미널(Brooklyn Army Terminal)에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하고, 충전 상태 확인, 예약, 실시간 자리 확인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앱 기반 서비스를 운영한다.
이에 LG CNS는 자사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시티허브 빌딩’을 충전소 관제 시스템으로 활용하고, 원격 제어를 통해 실시간 에너지 사용 및 고정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향후에는 레벨3 초급속 충전기와 에너지저장장치(ESS) 공급도 확대할 예정이다.

LG CNS는 호건스빌시와도 중심가와 공원 일대에 IoT 기반 스마트 가로등(Smart Pole)을 설치하고, 환경 센서, 공공 와이파이, AI CCTV, 디지털 사이니지, 비상 호출 버튼 등을 탑재한다. 이 가로등은 도시 데이터 수집과 교통·치안 모니터링, 비상 대응 기능을 제공하며, ‘시티허브 빌딩’ 플랫폼을 통해 통합적으로 제어된다. 비상 호출 버튼은 경찰서 등과 연동돼 시민의 안전을 강화한다.
LG CNS는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조지아주 내 라그랑주(LaGrange), 웨스트포인트(West Point) 등 인근 도시로 스마트시티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뉴욕시와도 시범사업 이후 본사업 전환 및 초급속 충전 인프라 확대 등 추가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이 사업은 뉴욕시의 ‘녹색경제 시행계획(Green Economy Action Plan)’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LG CNS 현신균 사장은 “미국에서의 스마트시티 인프라 구축 사업은 LG CNS가 축적한 DX 역량과 기술력을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은 좋은 사례”라며 “향후 미국 내 친환경 스마트시티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지속 가능한 미래 도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LG CNS-구글 클라우드, 아시아태평양 AX 시장 본격 공략
- LG CNS-미래에셋생명, AI·클라우드 서비스 고도화 협력
- LG CNS-W&B, 에이전틱 AI 서비스 고도화 위해 맞손
- LG CNS, 창고 자동화 물류로봇 ‘3D 모바일 셔틀’ 공개
- LG CNS, AI·클라우드 등 8개 분야 상반기 신입사원 채용
- LG CNS-코히어, 국내 기업 맞춤형 에이전틱 AI 고도화 협력
- 생성AI 도입 지원 ‘AWS|LG CNS 생성형 AI 론치 센터’ 출범
- LG CNS, 데이터센터 ‘재해경감 우수기업 인증’ 획득
- LG CNS, 금융 산업 특화 LLM 평가 도구 출시
- LG CNS-S-OIL, AI 지능형 공장 구현 협력 강화
- AI 기반 수학적최적화 플랫폼 ‘MOP’, 광고 성과 3천억 돌파
- LG CNS, 1분기 매출 1.2조·영업이익 144%↑...클라우드·AI가 견인
- LG CNS, 신한은행에 챗GPT 기반 기업용 AI 구축...직원 업무 지원·고객 서비스 강화
- LG CNS, AI 기반 '퍼펙트윈 ERP 에디션'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
- LG CNS, AI 전문가 1000명 확보 목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