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2022 부산국제모터쇼’와 ‘2022 대한민국 드론·UAM 박람회’에서 도심 교통의 패러다임을 바꿀 UAM 서비스의 미래상을 제시한다.
도심 항공 교통(Urban Air Mobility, 이하 UAM)은 전기로 구동하는 eVTOL (전기수직이착륙 항공기) 기반의 교통 체계 전반을 의미하며, 활주로 없이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고 다양한 지상 교통수단과 연계할 수 있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은 15일 오전 개막하는 ‘2022 부산국제모터쇼’에 국내 UAM 상용화를 추진 중인 사업자 중 유일하게 참여한다.

국제모토쇼에서는 국내외 주요 완성차 브랜드의 최신 전기차 라인업과 친환경 기술이 각축전을 벌인다. 이 행사에서 SKT는 UAM 사업 목표 및 서비스를 소개하고, 실감 나는 에어택시 가상 체험을 선보여 관람객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을 예정이다. 관람객들은 대형 로봇팔 시뮬레이터 위에 올라 마치 UAM 항공기에 탑승해 비행하는 듯한 체험을 할 수 있다.
400㎡ 규모의 전시관 뒷벽을 가득 채운 대형 LED 스크린에는 2030년 부산시의 하늘이 광활하게 펼쳐지고, UAM 항공기가 수직 이착륙장(버티포트, vertiport)에서 탑승객을 맞는 AR 이미지로 전환된다.
로봇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가상 UAM 체험은 올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22에서 세계 각국의 ICT 전문가들의 큰 관심을 받았던 체험 요소로, 부산국제모터쇼 맞춤형 콘텐츠로 새롭게 준비해 국내 고객들에게도 선보이게 됐다.
SKT가 참여하는 ‘K-UAM 드림팀’ 컨소시엄은 15일 오후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국토교통부 주최로 열리는 ‘2022 대한민국 드론·UAM 박람회에서도 UAM 역량을 선보인다.
이번 박람회는 우리나라 드론·UAM 분야 선도 기업과 기관들이 기술 활용 사례와 향후 사업 전략을 논의하는 행사로, 전시·정책 포럼·관람객 체험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된다.
SKT는 이날 박람회 개막식에 앞서 열리는 ‘UAM Team KOREA 전략포럼’에서 UAM 사업 계획도 발표한다. 해당 포럼은 UAM 기업들의 사업 추진 현황을 확인하고, 기업들이 건의 사항을 전달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SKT가 참여하는 K-UAM 드림팀 컨소시엄은 UAM 운항, 관제, 인프라, 기체,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의 강점을 알리는 전시 공간도 마련했다.
박규현 SKT 디지털커뮤니케이션담당은 “관람객들이 첨단 ICT 장비를 통해 UAM 서비스를 실감 나게 체험할 수 있도록 전시를 구성했다”며 “SKT는 국내 UAM 상용화 추진 과정에서 대중적인 공감대를 형성하고, 서비스 저변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거주·이동·체류 관련 통계 정보 API로 제공된다...데이터 활용 생태계 확대
- 메타버스에서 즐기는 숲 전시회, 새롭네!
- 양자암호통신, 상용망 구축에 바짝 다가서다
- SK텔레콤-엠큐닉, 통신 빅데이터 활용교통정보 생성·검증 사업 확대 협력
- SK텔레콤, 서울시 자율주행차 시범운행 상암지역 확대 구축
- “UAM은 사회 비용 해결할 게임 체인저”
- 뜨거워지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그랜드 챌린지' 실증 사업
- 하늘나는 자동차 UAM, 우리 곁에 바짝!
- SK텔레콤, 코어망 고도화로 6G 진화 기반 확보
- SKT-하나금융그룹 '4000억원대 파트너십' ICT 금융혁신 시작되나?
- 해수욕장에 뜬 음식 배달 드론
- SKT, 올 2분기 실적 '매출 4조2899억원, 영업이익 4596원'
- TIE, 자율비행 음식 드론배송 Zerolap 베타서비스 성료
- 모라이, 커머셜 UAV 엑스포에서 비행체 시뮬레이션 플랫폼 'MORAI SIM Air' 공개
- SKT-에릭슨, 6G 향한 AI 기반 무선망 "실시간 최대 성능 도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