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N 얼라이언스는 늘 보안을 중시해 왔으며, 최근 보안 사양화 활동에 많은 주의를 기울여 보안 포커스 그룹을 O-RAN 얼라이언스의 11차 기술 작업 그룹으로 전환했다. O-RAN 생태계의 보안 전문가들은 체계적 위협 분석을 O-RAN 아키텍처에 접목해 왔다. 보안이 개별 인터페이스나 기능별 사양에 핵심으로 자리 잡으면서 적절한 검증을 위한 보안 테스트 사양이 꼭 필요해졌다.
O-RAN 얼라이언스(O-RAN ALLIANCE)는 O-RAN 릴리즈 003 사양을 시작으로 2022년 3월 이후 52건의 새로운 O-RAN 사양을 발표했다. 그중 12건은 대용량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및 R1 인터페이스, E1 인터페이스 테스트, O2dms 인터페이스, 액셀러레이션 추상화 계층, 실외 매크로 셀 HW, O-RAN 아키텍처의 서로 다른 3개 부분 보안 사양 등에 대한 이용 사례를 담고 있다.

O-RAN 얼라이언스는 가장 안전한 최상의 솔루션을 뒷받침하는 O-RAN 네트워크를 통해 O-RAN 생태계가 추구하는 체계적이고 투명한 보안 접근법을 추구하고 있다.
O-RAN 소프트웨어 커뮤니티(OSC)가 2022년 6월 개방형 소프트웨어 릴리즈 ‘F’를 발표했다. 트래픽 스티어링(Traffic Steering)과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의 이용 사례 지원과 최신 O-RAN 사양 배치를 개선한 릴리즈다.
F 릴리즈는 O-클라우드 측면에서 OSC O-클라우드 플랫폼이 O2 DMS와 IMS를 구현했고, O-RAN O-클라우드 사양에 따라 3가지 형태의 리소스 풀(심플렉스, 듀플렉스, 듀플렉스 플러스)을 지원한다.
인텔리전스 측면에서 △O-RAN 사양에 따라 A1 정책과 A1-EI 기능 구현 △데이터 매니지먼트 익스포저(Data Management Exposure)와 같은 R1 인터페이스 지원 △근실시간 RIC 업데이트로 E2AP 사양 v2.0 지원 △E2 서브스크립션용 REST 기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파이선 xApp 프레임워크를 지원한다.
무선 프로토콜 측면에서는 인트라-CU 핸드오버, 휴지 모드 페이징, HARQ 프레임워크 등의 새로운 기능을 담았다. 서비스 관리 및 오케스트레이션(SMO)이 O1/VES 인터페이스 상의 표준 정의 메시지(StdDefine)를 지원해 관리 기능과 네트워크 슬라이싱 프레임워크 개발 기능을 강화했으며 O2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O-RAN 배치 토폴로지 관점을 제시하는 툴과 기능으로 rApp 및 CNF 배치를 지원한다.
O-RAN 기술운영위원회 공동의장 겸 차이나모바일(China Mobile) 수석 과학자 치린 아이(Chih-Lin I)는 “다양한 자원을 통한 O-클라우드 구현이 F 릴리즈의 특징이며, 이는 G 릴리즈의 SMO xNF 배치에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퍼 베밍(Per Beming) 에릭슨(Ericsson) 표준화산업활동 부사장은 “멀티벤더 rApps 생태계는 서비스 제공업체의 RAN 배치·전개·최적화·자동 복구를 뒷받침할 잠재력이 있다. 에릭슨은 간단한 멀티벤더 rApps를 통해 복잡한 이용사례를 구축하는 세상을 꿈꾸며 R1 인터페이스는 비전에 매우 중요하다”라며 “에릭슨은 OSC F 릴리즈의 비실시간 RIC 프로젝트에 주요 기여자로서 R1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 익스포저와 관련된 문제는 물론 rApp 라이프 사이클 관리 접근법을 정교하게 다듬는 데 집중해 왔다”고 말했다.
한편 O-RAN 얼라이언스는 O-RAN 인증·배지 프로그램을 통해 2건의 O-RAN 인증을 처음으로 교부했다. O-RAN 얼라이언스는 2022년 6월에 개방형통합인증센터(OTIC)와 함께 인증·배지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O-RAN 인증·배지 프로그램은 O-RAN 솔루션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종합 메커니즘이다.
O-RAN 인증은 O-RAN 사양에 부합하는 설비나 기능을 증명하고, O-RAN 배지는 O-RAN 솔루션의 단대단 기능성이나 상호 운용성을 확인하는 프로그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