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진흥원(이하 KISA)은 데이터 경제로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을 주제로 한 '2023 개인정보 7대 이슈'를 선정해 관련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번 개인정보 이슈의 주요 특징은 글로벌 데이터 기반 경제에 안전한 개인정보 활용, 디지털 전환에 따른 기업의 디지털화와 빅테크 기업·플랫폼 서비스 활성화에 따른 정보주체 권리 보호 방안 필요 등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개인정보 7대 이슈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개인정보의 안전한 활용 방안으로 부상한 마이데이터와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현 ▲다양한 산업군에서 데이터 결합이 예상되면서 주목받고 있는 가명정보 활용에 따른 도전과 과제 ▲사업장 디지털화와 근로자 프라이버시 ▲데이터 현지화 vs. 국경 간 자유로운 데이터 이전 ▲공공분야 개인정보 보호 조치 대폭 강화 ▲빅테크 기업으로부터 정보주체 권리보호 ▲플랫폼 기업의 책임과 자율규제 등이다.

KISA는 조사 결과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외 언론, 연구보고서 등을 통해 관련 키워드를 추출하고, 최근 동향과 자료를 분석해 16개의 중요 키워드를 도출했으며, 50여명의 전문가 대상 설문과 자료 검토, 논의 등을 거쳐 최종적으로 7대 이슈를 선정했다.
이외에도 KISA는 7대 이슈뿐 아니라 개인정보 관련 국가통계인 ‘개인정보보호 및 활용조사 현황’과 최근 세계적인 흐름에 따라 국내에서도 주목받고 있는 ‘K-ESG 경영과 개인정보보호’ 주제를 다룬 2개의 특집과 함께 개인정보 정책 수립에 객관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는 ‘국내외 개인정보·데이터 관련 통계조사 리스트’를 부록으로 수록해 자료의 활용도를 높였다.
KISA 김주영 개인정보본부장은 “이 보고서가 데이터 경제 시대에 주도적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한 정부와 기업의 실효성 있는 개인정보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KISA는 앞으로도 개인정보 관련 정책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2023년 핵심 보안 이슈 '5G와 메타버스, 클라우드, 의료, 데이터 주권'
- KISA, 디지털안전본부 등 신설 등 조직개편 단행
- 메타버스 공간에서 IoT제품·서비스 보안 체험한다
- KISA, ‘해외 개인정보 보호 규제 준수 특집 릴레이 웨비나’ 성료
- KISA, ‘개인정보 영향평가 대가산정 가이드’ 발표
- 2023년 5대 보안 위협 트렌드
- 해외 개인정보보호 컴플라이언스 이슈 실무 웨비나 개최
- 컴플라이언스 충족시키는 글로벌 의료 AI 협력 프로젝트
- [기고] 고객의 데이터 제어권을 보장하라
- 2023년에 주목할 IT 산업 10대 트렌드
- 2023년 물리 보안 시장 7대 전망
- KISA 주도로 ASEAN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 나선다
- 파수, 개인정보 비식별화 솔루션 'ADID'…'가명정보 처리 가이드라인' 업데이트
- 경북형 공공마이데이터플랫폼, 블록체인 기반 DID 기술 도입
- 중소기업 서버 보안 위한 자가진단 서비스 '내서버 돌보미'
- KISA, EU 현지 진출 기업 지원 위한 GDPR 기업간담회 개최
- 기업 CIO·CISO가 가장 우려하는 것
- 국가간 데이터 이동, 안전하고 규정 준수하는 보더리스 데이터 솔루션 등장
- IT 리더와 마케터가 지켜야할 개인 정보 보호 10대 원칙
- 안전한 개인정보 유지로 사용자를 안심시키는 디지털 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