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미래 신사업 영역 발굴 필요성이 높아가는 가운데, 각 기업들이 창의적 조직 문화와 이를 위한 지원 프로세스 정립에 적극 나서고 있다.
LG CNS의 '아이디어 몬스터'는 DX(디지털 전환) 신사업 강화를 위해 시행되고 있는 사내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이다. 기술과 사업성에 대한 철저한 심사를 통해 실제적인 사업 성과를 내는데 초점을 맞춘다. 선발부터 사업화에 이르기까지 총 4단계를 거쳐 선발되면 회사의 지원에 따라 자신만의 스타트업을 갖게 된다.
LG CNS는 최근 '아이디어 몬스터' 과정을 통해 선발되는 사내 스타트업의 지원 규모를 대폭 확대했다. 선발되는 즉시 연봉의 4%를, 1차 심사와 2차 심사를 통과하면 각각 3%씩, 실제 사업화에 성공하면 10%를 지급받는다. 모든 단계를 통과한 직원은 연봉의 20%를 인센티브로 받게 된다.
선발된 팀에게는 최대 10억원의 프로젝트 운영 예산도 지원한다. 선발 대상이 실제 사업화에 성공해 목표 매출액을 달성할 경우, 매출액과 연계한 인센티브까지 추가로 지급한다는 방침이다.
독립적 업무 공간과 전문 컨설팅 서비스도 제공한다. 사내 스타트업으로 선발되면 마곡 본사에 별도로 마련된 공간에서 자유롭게 사업 추진, 아이디어를 펼치게 된다. 연구/전문위원, 마이스터 등 사내 DX 전문가에게 기술 조력은 물론, 재무 관리와 법무 컨설팅도 받을 수 있다.

2016년부터 운영되고 있는 '아이디어 몬스터'는 지금까지 △단비 △햄프킹 △폴리오컴퍼니 총 3개 스타트업이 독립적인 분사에 성공했다. 3사 대표 모두, 책임급에서 유망한 회사의 대표가 됐다.
단비는 지능형 챗봇 제작 도구를 서비스한다. 최근 2년간 매출 규모가 250%나 성장했다. 챗봇을 통해 AI를 배우는 ‘에이아이런’ 프로그램도 개발해, 지금까지 35개 교육기관, 4700여 명 학생들에게 AI 교육을 실시했다.
햄프킹은 AI와 RPA 기술을 결합한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2020년 분사 당시 관세 법인 고객사 한 곳을 대상으로 시작해, 현재는 대기업 물류사, 제조사, 통신사, 공공기관 등 약 20개 고객사를 둔 건실한 스타트업으로 성장했다.
폴리오컴퍼니는 지난해 8월 분사한 신생 기업으로, 3월 7일 ‘모두의 위츠’ 서비스를 출시하며 사업을 본격화했다. 모두의 위츠는 기후, 인구, 물가, 주가 등 다양한 생활·경제 데이터를 연결해 나만의 정보를 만들고, 이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새로운 개념의 플랫폼이다.
LG CNS는 고객 가치 혁신을 위한 DX 신사업을 지속 강화하고 있다. 마이데이터 '하루조각 서비스', 5G 특화망 신청 등 B2B와 B2C를 넘나들며 다양한 DX 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G CNS 정보기술연구소 전은경 상무는 “사내 스타트업은 DX 전문 기술력과 창의적 사업 아이디어를 융합해 새로운 미래 먹거리를 발굴할 수 있는 기회”라며 “창의적 조직문화와 협업 생태계를 정착 시켜 DX 가속화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