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이하 인수위)에서는 새 정부의 원전복원 정책을 구체화하고 있다. 인수위는 현재 70%대인 국내 원전 가동률을 80%이상으로 상향하는 것을 공식화했다. 국내 원전가동률이 높아질 경우 관련 산업의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다.

우리기술(대표 노갑선)은 올해 1분기 원전사업 부문 수주금액이 전년동기 대비 18.2% 증가한 90.3억원을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수주확대 요인은 가동 중인 원전의 예비품 공급과 유지보수 사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향후 새 정부의 원전복원 정책이 본격화될 경우 수주증가는 가속화될 전망이다.

지난해 핵심사업인 원전부문의 지속적인 매출증가로 연결기준 매출액 521.4억원과 영업이익은 72.45억원의 호실적을 달성했다. 올해 3월에는 64.2억원 규모의 신고리 5, 6호기(2024년 준공예정)에 사용할 비안전 등급 DCS 예비품 공급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인수위는 2030년 이전 운영허가가 만료되는 10기에 대해 전문가의 안전평가를 거쳐 계속 운전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설계 수명이 완료된 노후 원전을 계속 운전하기 위해서는 최신 기술과 기준 적용이 필수적이며, 큰 폭의 시설교체 및 보완이 반드시 필요하다.

차기 정부의 임기 중 고리 2, 3, 4호기, 한빛 1, 2호기, 월성 6호기 등 총 6기의 설계수명이 만료한다. 우리기술은 노후 원전의 대규모 시설교체 시 국산화한 제어계측설비를 비롯한 관련 장비를 공급할 수 있을 전망이다.

원전의 계속 운전 외에도 인수위는 문재인 정부에서 중단됐던 신한울 3, 4호기(1400MW/기)의 건설 재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주문했다.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사업 수주를 위해 범정부 수출지원단 운영 등 원전 수출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국내 신규 원전 건설은 물론 체코 원전 수주(2024년 최종 확정예정) 시 우리기술은 제어계측설비 및 관련 시스템 공급이 가능하다.

혁신형 ‘소형모듈원전(SMR)’ 개발도 새 정부의 원전정책에 포함했다. SMR은 대형원전에 비해 안전성과 경제성이 뛰어나 탄소감축의 주요 대안으로 급부상 중이다. 탈원전을 선언했던 프랑스와 영국이 SMR의 개발 및 건설에 나섰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2050년까지 전 세계 최대 1000기의 SMR이 건설되고, 시장 규모만 4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우리기술은 지난 2012년 세계 최초 상업용 SMR인 ‘SMART 원전 사업화’에 주요기업으로 참여한 바 있다. 현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 중인 ‘혁신형 소형모듈원전(i-SMR)’개발에도 참여할 예정이다. 

우리기술 관계자는 “우리기술은 원전의 핵심기술인 제어계측 설비 국산화에 성공해 100%자체 기술로 관련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핵심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공격적인 매출확대 및 수익을 창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