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사이버 보안 기업 가디오(Guardio)가 ‘2024년 1분기 브랜드 피싱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는 피싱 공격에서 가장 많이 사칭되고 있는 기업과 새롭고 정교한 사기 동향을 담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3월까지 전체 피싱 시도의 11.6%에서 USPS가 사칭되었으며, 이는 일상 커뮤니케이션 및 온라인 거래와 관련된 브랜드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USPS 브랜드는 단 2분기 만에 브랜드 오용 측면에서 12위에서 1위로 도약했으며, 이는 개인을 속이기 위한 사기꾼의 악용이 심각하게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스팀은 최고의 사칭 브랜드로 기술, 게임, 소셜 미디어 부문 전반에 걸쳐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보고서에 포함된 피싱에 사칭되는 상위 10대 기업은 USPS 11.6%, 마이크로소프트 9.3%. 메타 6.3%, 스팀(Steam)3.2%, 텔레그램: 2.9%, AT&T: 2.7%,, 찰스 슈왑(Charles Schwab) 2.6%, 유니스왑(Uniswap) 2.3%, DHL 2.3%, 원드라이브: 2.0% 순이다.
보고서는 사기에 딥페이크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고급 요리 기구 및 미용 제품을 홍보하는 타일러 스위프트(Taylor Swift) , 오프라 윈프리(Oprah Winfrey) 및 셀리나 고메즈(Selena Gomez)와 같은 인공지능이 만든 유명인사의 가짜 광고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실물과 똑같아 이러한 사기에 현혹된 소비자들에게 상당한 재정적 손실을 입혔다.
관련기사
- 금융권 겨냥한 새로운 사이버 위협
- 국내 기업 사이버 공격에 자신감 ‘61%’, 실제 준비는 ‘4%’
- 정교해지는 사이버 위협 ‘AI 기반 공격이 최대 위험’
- 향후 5년, 주목해야 할 6대 보안 트렌드
- 랜섬웨어 예방 핵심 "기업 규정 준수"
- 모바일∙IoT 기기 위협 증가, ‘IoT 보안’ 성장 견인
- 모바일 앱에 대한 ‘사회공학 공격의 악순환 제거’
- 데이터 침해∙사이버 범죄 기승, ‘디지털 포렌식’으로 대비
- 민주주의 선거 해치는 ‘온라인 위협’ 주의 필요
- 네트워크 트래픽 증가에 따른 보안 위협 해결책 ‘네트워크 포렌식’
- 고도화된 ‘AI 위협’은 맞춤형 ‘AI로 방어’
- ‘피싱·랜섬웨어’, 한국을 가장 괴롭히는 사이버위협
- ‘AI∙생성AI 때문에’ 데이터 보안 위협 증가
- 기업 최우선 과제 ‘AI 통합∙디지털 전환∙사이버 보안∙연결성’
- 2초 안에 ‘딥페이크·신원사기’ 잡는 AI 기반 문서 검증 솔루션
- 신원 사기 주범, 사진 ID·가짜 이미지·셀카 스푸핑
- 악의적 조작 콘텐츠와 딥페이크 대항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