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솔루션 글로벌 기업 넥스컴(NEXCOM)이 최신 사이버 보안 위협에 대응하는 주요 애플리케이션들의 벤치마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사이버 보안 과제 해결을 위해 동일 시스템 내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을 평가하며 넥스컴 NSA 7160R 서버의 성능 지표를 탐구했다.

보고서는 MalConv와 Bert-base-cased 두 AI 모델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제시하고, AI 사이버 보안에서 지연 시간과 처리량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를 통해 사이버 보안 전문가와 IT 리더들이 진화하는 사이버 위협에 대한 방어력을 강화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했다.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넥스컴 NSA 7160R은 변형 및 신종 악성코드를 탁월한 정확도로 탐지할 수 있어 고도화된 사이버 위협에 대한 완벽한 방어 능력을 입증했다.
또한 NSA 7160R은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고 신속하게 보안 위협을 식별해 사이버 보안 운영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높이는 것으로 검증됐다. 실시간 위협 탐지 기능과 최적화된 대응 전략을 갖춘 NSA 7160R은 AI 기반 사이버 보안 체제로의 원활한 전환을 가능케 한다.
앨런 츄(Allan Chiu) .넥스컴 네트워크통신솔루션 사업부 부사장은 "넥스컴은 특히 사이버 보안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AI 기반 솔루션을 적극 수용하고 있다."라며 "최신 확장형 솔루션인 NSA 7160R은 맞춤형 구성을 제공해 유연성을 우선시한다. 우리의 목표는 고객의 의사 결정을 간소화하는 것이며, 이번 보고서는 우리의 네트워크 어플라이언스 NSA 7160R의 성능을 통해 입증된 AI 솔루션의 잠재력을 보여주는 자료이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마이크로소프트, AI 기반 통합 보안 솔루션 ‘코파일럿 포 시큐리티’ 공개
- 샌즈랩-포티투마루-LG유플러스, 사이버 보안 LLM 구축 ‘의기투합’
- AI 윤리 문제·규제 복잡성 해결하는 '책임형 AI' 솔루션
- LLM 취약점 해결해 개인정보 보호하는 안티 AI 도구
- 사전 예방적 생성AI 보안 테스트 솔루션 출시
- “아카마이, 2024년 비즈니스 모멘텀은 보안과 분산 아키텍처”
- AI·MLOps로 강화되는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ML-BOM'
- [기고] 보안에 관한 생성AI vs 인간 전문성
- [2024년 전망] AI 기술격차가 기업의 생산성과 수익 판가름 할 것
- “대다수 기업, 생성AI 보호에 데이터 보안 플랫폼 활용”
- 구글 클라우드의 보안 위협 해결법 '생성AI'
- 기업 60%, 생성AI 관련 ‘보안·오용’ 사고 경험
- “사기 예방 AI 무시하면 수 조 달러 손해 위험”
- 진화하는 사이버위협 방어하는 AI 기반 보안 네트워크 어플라이언스
- “AI와 머신러닝을 노리는 사이버 공격, rMLS가 막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