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AI 컴퓨팅 기업 엔비디아(CEO 젠슨 황)가 미국 정부에서 기후 과학, 의료 그리고 사이버 보안 분야에 생성AI를 적용하기 위해 자사의 AI 데이터센터 솔루션 ‘엔비디아 DGX 슈퍼팟(SuperPOD)’을 채택했다고 9일 밝혔다.

이는 지난 10월 미국의 AI 리더십 보장과 위험 관리를 목적으로 발표된 행정명령을 따른 것이다. 미 연방 정부는 비영리 연구 단체 마이터(MITRE) 소속 연구자와 개발자에게 대규모 컴퓨팅 시스템을 지원할 계획이다.
DGX 슈퍼팟은 마이터의 연방 AI 샌드박스(Federal AI Sandbox)를 지원한다. 이는 차세대 AI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실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미 연방 정부 기관 전반을 대상으로 한다.
연방 AI 샌드박스는 연방 정부 기관에 LLM과 기타 생성AI 도구를 훈련해 최첨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컴퓨팅 성능을 제공할 예정이다.
샌드박스를 구동하는 엔비디아 DGX 슈퍼팟 시스템은 엑사플롭(exaflops)의 8비트 AI 연산이 가능하다. 즉, 초당 100경의 연산 작업을 수행해 맞춤형 LLM과 기타 AI 솔루션을 대규모로 훈련하고 배포할 수 있다.
한편, 이 엔비디아 슈퍼컴퓨팅 이니셔티브는 최근 백악관이 발표한 파트너십 계획에 포함됐다. 해당 파트너십은 대학에서 AI 기술을 교육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일환으로 1억 1천만 달러 규모로 체결됐다.
찰스 클랜시(Charles Clancy) 마이터의 수석 부사장 겸 최고 기술 책임자는 “대부분의 기관에는 실험과 프로토타입 제작에 필요한 컴퓨팅 환경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라며 “마이터의 새로운 연방 AI 샌드박스는 모든 기관에 맞춤형 AI 솔루션 훈련과 테스트에 필요한 고품질 컴퓨팅 성능을 제공해 공평한 경쟁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엔비디아-인트린직, 차세대 '로봇 파지 기술'로 AI 기반 산업 자동화 가속
- 엔비디아-AWS, '생성AI' 기반 헬스케어 워크플로우 가속 맞손
- FPT-엔비디아, 아태지역 ‘AI 팩토리’ 설립...AI 및 클라우드 역량 확대
- AI 워크플로우 가속하는 GPU 엔비디아 'RTX' 시리즈
- 엔비디아-구글 클라우드, AI 개발 엔진 가속 동맹
- 엔비디아, 로컬PC에서 다양한 생성AI 파운데이션 모델 지원
- 지능형 냉각 기술 탑재 에지 기반 ‘마이크로 데이터센터’...표준화 설계·단일 올인원 솔루션 운영
-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AI·스토리지·재활용·3-2-1규칙'이 핵심
- HPE-엔비디아, 야심의 합작품 ‘생성AI용 HPE 슈퍼컴퓨팅 솔루션’
- 데이터 처리∙고성능 컴퓨팅 요구 증가 ‘SDDC’ 시장 확장세
- 엔비디아, AI 인프라에 최적화된 네트워킹 스위치 X800 시리즈 발표
- 엔비디아가 생각하는 차세대 데이터센터 효율 측정 기준은?
- [Success Story] 다양한 산업 HPC 작업 지원하는 엔비디아 '생성AI·GPU’
- 빠른 AI 환경 구축, ‘엔비디아 기반 델 AI 팩토리’
- 고품질 센서 시뮬레이션 구현하는 엔비디아 ‘옴니버스 클라우드 센서 RT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