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은 30일 오픈 소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그리고 인공지능·기술을 비롯해 IBM의 자회사 레드햇의 기술이 엔듀로샛(EnduroSat) 로켓에 탑재돼 우주로 발사되었다고 밝혔다.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캐너버럴 센터에서 현지 시각 25일 오후 2시25분(한국 시각 26일 오전 3시25분)에 발사된 민간 우주 기업 ‘스페이스X(Space X)’의 ‘팰컨9(FALCON9)’ 로켓이 바로 그것으로, IBM의 지구 관측 및 궤도 에지 컴퓨팅 장비를 탑재했다.

엔듀로샛은 소프트웨어 기반 나노샛(NanoSat, 소형 인공 위성) 및 기업과 학계에 우주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도 기업이다.이  회사는 공유 위성 서비스를 통해 기업가, 과학자 및 기술자들이 인간의 최종 개척지라고 할 수 있는 우주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IBM 인듀어런스 프로젝트[사진=IBM]
IBM 인듀어런스 프로젝트[사진=IBM]

IBM은 그동안 인듀어런스(Endurance) 프로젝트를 통해 엔듀로샛과 함께 전 세계 개발자와 학생들이 우주에서 발사체가 복귀하기 전에 우주 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는 쉽고 빠른 방법을 찾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IBM과 레드햇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기술을 접목한 우주 에지 컴퓨팅 솔루션을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이 우주의 신비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의 두 번째 미션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IBM 클라우드에 코드를 안전하게 호스팅하고 푸시해 엔듀로샛의 디지털 미션 환경과 연결한다. 지상국,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나노샛과의 연결해 각종 센서 내 데이터에 접속하는 것을 포함해 사진을 촬영하거나 여러 계산을 수행하며 얻은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한다. 

나임 알타프(Naeem Altaf) IBM 스페이스 테크 최고기술책임자(CTO)는 “IBM의 우주 에지 컴퓨팅 실험은 우주에서 컨테이너를 구동하고 인공위성에서 생산되는 원시 데이터에 AI를 적용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발견하는 데이터를 하이브리드 솔루션인 IBM 클라우드를 통해 다시 지구로 전달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