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보험 기업 처브(Chubb)가 글로벌 설문조사 ‘사이버 사기가 디지털 결제 신뢰에 미치는 영향’ 조사 결과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사이버 사기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고, 사이버 보호에 대한 오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사이버 침해에 대한 우려 증가로 인한 소비자 구매 행동이 크게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멕시코, 브라질,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태국, 베트남에서 실시된 이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6%가 자신들의 결제가 보호된다고 잘못 알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응답자의 61%가 사이버 사기에 대한 우려로 인해 행동을 바꾸거나 결제 플랫폼 사용을 줄였다고 답했다.
신뢰 감소가 급격한 성장을 위협
모든 설문조사 응답자들은 지난해 디지털 결제를 한 적이 있으며, 63%는 사이버 사기 피해자이거나 피해자를 알고 있다. 이러한 사기의 영향은 금전적 손실을 넘어 결제 플랫폼에 대한 신뢰를 훼손하고 도입을 방해한다.
응답자들은 9가지 다른 유형의 사기 중에서 피싱/비싱과 사칭 사기, 그리고 가짜 제품 또는 서비스 구매를 가장 우려하고 있다. 응답자의 61%가 우려로 인해 특정 디지털 결제 플랫폼의 사용을 변경하거나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특정 인구통계 및 지리적 설문조사 대상에서 사이버 사기 피해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아시아 여성(33%), 미국(33%)과 아시아(34%)의 젊은층의 피해가 가장 컸다. 시장별로는 태국(39%), 필리핀(38%), 인도네시아(36%), 브라질(32%)의 여성이 많았다.
해킹 위협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응답자의 53%가 계정 해킹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고, 48%가 잠재적 데이터 유출에 대해 걱정했다. 46%는 사기 당할 가능성을 신뢰의 장벽으로 꼽았고, 37%가 사기를 당했을 때 돈을 회수할 수 있을지에 대해 불안감을 표시했다.
응답자 집단 간 신뢰 수준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여성의 69%(전체 응답자의 65%)가 디지털 결제 기술을 완전히 신뢰한다고 답했고, 18~34세의 젊은 사용자들의 68%가 이러한 기술을 완전히 신뢰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국제 송금을 하는 사람의 96%와 주간 송금을 하는 사람의 94%는 사이버 사기에 더 취약함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기술을 어느 정도 또는 완전히 신뢰한다고 밝혔다(전 세계적으로 91%).
결제 제공업체들은 신뢰 격차를 줄여야 한다. 응답자의 32%가 디지털 결제 기술의 보안을 신뢰하지 않으며, 36%는 고객 지원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29%는 플랫폼이 개인정보를 보호할 것이라고 신뢰하지 않는다.
보험은 디지털 결제에 대한 더 큰 신뢰와 채택을 촉진할 수 있다. 응답자의 75%가 거래 보험이 신뢰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보험의 영향은 라틴 아메리카 소비자들 사이에서 가장 높았다. 84%가 개인 사이버 사기 보험이 있다면 결제 기술을 완전히 신뢰하거나 훨씬 더 신뢰할 것이며, 82%는 결제 보호 보험에 가입한 경우 결제 기술을 훨씬 더 신뢰한다고 답했다. 또한 많은 응답자들이 AI를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보고 있다.
처브의 최고 디지털 사업 책임자인 션 링스테드(Sean Ringsted)는 “디지털 결제의 미래는 밝으며, 보험은 디지털 결제의 궤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면서 “보험 솔루션을 통해 인식, 경계 및 보호에 초점을 맞춘 사고방식을 육성해 관련 위험을 완화하고 디지털 결제의 이점을 모든 사람이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생성AI 기반 사기의 주요 표적 ‘소기업’
- 원격 작업·규제 준수 강화 ‘디지털 서명’ 상승세
- 인포스틸러·디지털 신원 노출 ‘랜섬웨어 공격 증가’
- 올 2분기 '랜섬웨어 피해 금액' 급증...전 분기 대비 102%↑
- 더 강력한 보안 기술 ‘생체 인식’ 꾸준히 확산
- 새 양자 암호화 알고리듬에 적극 대처하는 빅 테크 기업들
- 은행·보험·온라인 마켓의 디지털 사기 ‘사전 방지’
- 기업 26% “사이버 보안 교육 전혀 없다”
- 중소기업 ‘사이버 보안 예산 증액·사이버 보험 가입 최고치’
- SW 취약성 줄이고 ROI 높이는 통합 엔드포인트 관리
- IoT∙AI∙ML 신기술 위협 ‘사이버 보안’ 수요 촉발
- 맬웨어 유출 데이터 가로채는 신기술
- 온라인 보안 강화 제1 수칙 ‘피싱 인식’
- ‘취업 사기 급증’...선불 지급·기밀 정보 요청·무면접 주의
- AI·ML 기술 접목 ‘피싱 공격 대응 솔루션’ 견고한 성장세
- 결제 사기, 소비자 넘어 금융 당국까지
- 결제 관리 간소화 AI 솔루션...결제 전환·사기 예방율↑
- ‘글로벌 이커머스 컴플라이언스’ 업데이트...“클라이언트 측 웹 스크립트 공격 보호 인증 받아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