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처럼 움직이는 로봇 손을 개발하는 것은 극도로 정교한 기술적 도전 과제다. 인간의 손은 20개 이상의 자유도(DOF)를 가지며, 이를 통해 복잡하고 미세한 조작이 가능하다. 로봇 손이 이와 유사한 수준의 움직임을 구현하려면 높은 정밀도와 유연성을 제공하는 구동 시스템이 필요하며, 힘, 속도, 제어 가능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또한, 기존의 케이블이나 전기기계 방식은 한계가 있어, 충격 저항성과 열 관리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거나 충분한 힘을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기술적 한계는 로봇 손이 산업과 실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데 걸림돌이 되어왔다.
범용 로봇에서 인간 수준의 지능 개발을 목표로하는 생츄어리 AI(Sanctuary AI)가 21 자유도(DOF)로 물체를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만을 사용해 물체의 위치나 방향을 변경하는 세밀한 조작 기술인 "손 조작(In-Hand Manipulation)"을 수행할 수 있는 로봇손을 개발했다. 이 로봇 손은 다양한 산업의 정교한 조작 작업에 활용 될 수 있다.

이 손재주 높은 로봇 손은 독자적으로 개발된 소형화된 유압 밸브에 의해 실현된다. 이 유압 구동 방식은 케이블 및 전기기계 기반 시스템에 비해 전력 밀도가 10배나 높아, 속도, 힘, 제어 가능성, 수명 주기, 충격 저항성, 열 관리 측면에서 전교한 손재주 능력을 발휘한다.
생츄어리 AI의 범용 로봇인 피닉스(Phoenix)에서의 손재주 발전은 AI 제어 시스템인 카본(Carbon)을 더욱 훈련시키는 데 기여한다. 이 새로운 손재주 수준에서 생성된 풍부한 행동 데이터는 카본이 세상과 상호 작용하는 방법에 대한 더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카본과 생츄어리의 손재주 높은 로봇 손은 모두 모듈형으로 설계되어, 향후 인간형 및 비인간형 범용 로봇과의 통합 및 협력이 가능하다.

생츄어리 AI의 임시 CEO 겸 최고 상업 책임자인 제임스 웰스는 "확장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손조작을 시연하는 것은 범용 로봇의 가능성과 실행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이정표이다. 손재주 능력은 범용 인간형 로봇의 잠재 시장 크기와 직접적으로 비례한다."라며, "우리는 인간 수준의 손재주를 가진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유압 밸브 액추에이터를 20억 회 이상 테스트하면서 누수나 성능 저하의 징후 없이 작동하는 이정표도 달성했다."
생츄어리 AI는 인간 수준의 손재주를 구현하는 로봇 손을 통해 범용 로봇 시장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 이 기술은 산업용 정밀 작업뿐 아니라 AI 학습 데이터의 질을 향상시켜 로봇이 세상과 더욱 정교하게 상호작용하도록 돕는다. 모듈형 설계를 통해 다양한 로봇 플랫폼과의 통합 가능성을 확장하는 이 혁신은 범용 로봇의 실용화를 앞당길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관련기사
- ETRI, 산업 시설 안전 관리 자동화 AI 로봇 개발...로봇 간 협업 가능
- 로봇과 클라우드의 결합 ‘클라우드 로보틱스’ 시대 본격화
- [2025년 전망] 산업과 일상을 변화시킬 5대 기술 트렌드
- [2025년 전망] 엔비디아 예측 AI 기술 트렌드
- AI·머신러닝·센서 융합한 로봇, 인간과 긴밀한 협업
- 물류 폭증 해결사 '로봇 관리 시스템'...단일 시설 5천 개 이상 로봇 관리, 초당 1만 개 작업
- 자율 원격 조종 휴머노이드 로봇 ‘계약금 없이 월 단위로 임대’
- RPA에서 ‘에이전틱 오토메이션’으로 진화하는 비즈니스 자동화...인간·AI·로봇이 협력
- '드론과 로봇 간 무선 통신' 기술로 스마트시티 안전·긴급 대응체계 강화
- 운영 시간·비용 절약하는 ‘서비스형 자동화’...빠른 성장세
- [CES 2025] 일상을 변화시킬 첨단 로봇과 AI 로봇 애완동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