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조사 전문기관 데이코산업연구소는 ‘2025 AI 디지털교과서 시대에 대응하는 에듀테크 기술, 시장 전망과 사업화 전략’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에듀테크 및 스마트 교실 시장 전망을 분석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고도화된 IT 인프라와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기반으로 에듀테크 산업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기업과 스타트업들이 협력해 새로운 디지털 교육 콘텐츠와 서비스를 개발하며 공교육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전망은 세계 최초로 2025학년도부터 국내 공교육에 AI 디지털 교과서의 본격 도입을 배경으로 하며, 에듀테크와 스마트 교실 시장의 성장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AI 디지털 교과서는 영어, 수학, 정보 과목부터 시작해 점차 과목을 확대하며, 개인 맞춤형 학습, 데이터 기반 수업 설계, 학습 활동 정보 제공 등으로 교육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정부는 이 혁신적 시스템을 통해 디지털 전환의 글로벌 선도 모델을 구축하고, 에듀테크 기술을 활용한 공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마켓앤마켓(MarketsandMarkets)에 따르면, 에듀테크 및 스마트 교실 시장은 2023년 1463억 달러에서 연평균 13.2% 성장해 2027년 232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생성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교육 부문의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 기업들이 에듀테크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이들은 AI, AR, 데이터 관리 플랫폼 등 세부적인 기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에듀테크 스타트업에 투자하거나 인수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 흐름 속에서 한국은 AI, AR, 데이터 분석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교실 모델을 구축하며 에듀테크 선도 국가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데이코산업연구소는 한국이 디지털 전환을 통해 교육 산업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