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컴퓨팅 기술이 RSA, ECC 등 기존 암호체계의 안전성을 근본적으로 위협함에 따라, 전 세계는 양자내성암호(PQC)의 표준화와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미국 NIST의 PQC 표준 채택을 기점으로 금융, 공공, 산업제어 분야에서 양자보안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양자컴퓨팅 연구개발 및 양자보안, AI 인프라 운영 기업 한국퀀텀컴퓨팅(대표 김준영, 이하 ‘KQC’)가 PQC 기반 양자 내성 보안 하드웨어 보안모듈(HSM) 전문 기업 크립토포에이 테크놀로지스(Crypto4A Technologies, 이하 ‘크립토포에이’)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한국형 PQC 기반 보안 솔루션 상용화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은 PQC 기술의 개발 및 상용화를 가속화하고 글로벌 시장으로 확대해, 한국이 양자보안 산업에서 주권을 확보하고 아시아의 허브로 자리매김하는 데 목표를 둔다.
크립토포에이의 ‘QxHSM’ 플랫폼은 양자컴퓨팅의 위협으로부터 완벽한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PQC를 포함한 하이브리드 암호 알고리듬을 기반으로 설계된 차세대 하드웨어 보안 모듈이다.
이번 협력으로 KQC는 QxHSM을 기반으로 한국형 양자내성 암호화 기술(KpqC)을 개발해 국내 최초로 PQC-HSM 플랫폼을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금융, 공공, 산업제어 분야를 중심으로 양자보안 인프라를 구축하고 국내에 양자내성 기반 보안 인프라를 조기 상용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양사는 ▲국제표준 PQC 알고리듬과 한국의 양자저항 암호화 표준(KpqC)을 통합한 종합 기술 개발 ▲한국 KCMVP 인증 및 국제 보안 인증(CC)을 공동 추진해 신뢰성과 컴플라이언스(규제 준수) 강화 ▲한국 중심 양자보안 허브를 조성 및 글로벌 시장 확대를 함께 진행한다.
크립토포에이 브루노 쿠야르(Bruno Couillard) CEO는 “한국은 기술 수용도와 인프라 측면에서 양자보안 분야의 아시아 선도국이 될 준비가 돼 있다.”라며 “이번 협업은 양자 위협에 대응하는 보안 생태계 조성의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KQC 권지훈 회장은 “한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지역에서 리더십을 확보하고, 양자컴퓨팅 시대를 대비한 혁신 기술 개발을 선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KQC-부산교통공사, 양자 기술로 도시철도 운영 혁신 본격화
- KQC, ‘퀀텀코리아 2025’서 풀스택 양자 서비스·GPUaaS 공개
- 한국퀀텀컴퓨팅-KIOST, 양자컴퓨팅·AI로 해양환경 예측 고도화 맞손
- 한국퀀텀컴퓨팅, 고성능 AI GPUaaS로 본격 AI 인프라 시장 진출
- 오픈소스 포스트 양자 암호화, 양자공격 Y2Q 대비 실용적 보안 해법
- 하드웨어 보안 모듈, 코드 위변조 차단과 포스트 양자 암호화 대비
- 하이브리드 포스트 양자 암호화로 데이터 보안 강화
- [기고]양자 위협 시대, 기업에 필요한 것은 암호화 민첩성
- 하드웨어 취약점 88% 증가, 네트워크 취약점 2배 급증
- 한국퀀텀컴퓨팅-한국생명정보학회, 양자컴퓨팅 기반 바이오 연구 협력
- 포스트 양자 암호로 진화하는 블록체인 보안...양자 공격 차단하는 분산 키 관리
- 암호화 거버넌스로 클라우드·온프레미스 보안 통합...기업 데이터 위험 근본 차단
- “엔트러스트, 하이브리드 암호화와 PQC로 한국 데이터 신뢰 인프라 재편할 터”
- 한국퀀텀컴퓨팅-퀀텀에이아이, 고부가가치 AI 서비스 개발 협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