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에 담긴 수많은 정보들로 인해 부득이하게 수리를 해야할 경우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불안함이 있었다. 이제는 안심할 수 있게 됐다.
삼성전자가 갤럭시 스마트폰 사용자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막을 수 있는 ‘수리 모드’ 서비스를 정식 공개했다고 28일 밝혔다.

수리 모드는 스마트폰을 수리할 때 선택적으로 데이터를 공개할 수 있게 해, 일부 사설업체 등을 통한 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정보 접근이나 유출의 우려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다.
사용자가 스마트폰 설정에서 ‘배터리 및 디바이스 케어’ 메뉴 중 수리 모드를 실행하면 스마트폰이 재부팅된다. 이후에는 사진과 메시지, 계정 등 개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고 기본 설치 앱만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 수리가 끝난 뒤 패턴·지문 인식 등을 거쳐 사용자가 수리 모드를 종료하고 재부팅을 하면 다시 개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S21 시리즈부터 소프트웨어(Software) 업데이트를 통해 수리 모드를 도입하며, 추후 일부 다른 기종에도 확대할 계획이다.
최근 삼성전자는 민감한 개인정보의 보호와 보안을 강화하는 기능을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모바일기기에 잇따라 추가하고 있다. 지난해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독자적인 저장 공간에 보관해 다양한 공격을 차단해주는 정보 보호 기술인 ‘삼성 녹스 볼트(Samsung Knox Vault)’를 공개했으며, 5월에는 보이스피싱에 악용되는 스마트폰 악성 앱 설치를 차단하는 새로운 보안 솔루션을 공개했다.
삼성전자 MX사업부 시큐리티팀(Security팀) 신승원 상무는 최근 삼성 뉴스룸에 게재된 기고문에서 “기술이 그 어느 때보다도 세계를 가깝게 연결해주고 있지만, 그에 따른 위험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며 “삼성의 최우선 과제는 고객이 새로운 경험을 시도하는 동안에도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올 상반기 보안 이슈 "인포스틸러·웹과 애플리케이션 취약점·콘텐츠 분야 공격"
- 삼성전자, ‘갤럭시 A33 5G’ 국내 출시
- 이메일 피싱 공격막는 엔드투엔드 이메일 보안 솔루션 등장...메일 서버에서 사용자의 받은 편지함까지 보호
- 세계가 주목하는 삼성전자 차세대 메모리 솔루션
- "한국인 62%이상 인터넷에서 자신의 정보 삭제 원해"
- 베일 벗은 ‘갤럭시 Z 플립4·폴드4’, 사용자 경험·효율성·내구성↑
- 진화된 ‘갤럭시 워치5·워치5 프로’ 무엇이 달라졌나?
- 2022년 상반기 국내 스마트폰 시장 전년 대비 7.8% 감소
- 보이스 피싱 방지 정부 조치 강화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