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위협은 합법적 도구를 악용하거나 탐지를 회피하는 방식으로 고도화되고 있다. 특히 중견기업은 제한된 예산과 보안 인력 부족으로 최신 위협에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 하이브리드 근무 환경과 클라우드 전환 확산은 방어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으며, 비용 효율적이면서도 강력한 보안 솔루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엔드포인트 보호와 위협 탐지·대응을 통합한 차세대 보안 체계가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글로벌 사이버 보안 기업 카스퍼스키(Kaspersky, 한국지사장 이효은)는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보안 솔루션 ‘카스퍼스키 넥스트 XDR 옵티멈(Kaspersky Next XDR Optimum)’과 ‘카스퍼스키 넥스트 MXDR 옵티멈(Kaspersky Next MXDR Optimum)’을 공개했다. 두 제품은 합리적 비용, 손쉬운 배포, 자동화된 위협 대응을 결합해 보안 인프라 구축 부담을 줄이고 기업의 리스크 관리 역량을 강화한다.

XDR 기반 자동화 보안 체계

XDR 옵티멈은 머신러닝 기반 안티랜섬웨어 및 안티맬웨어 기능으로 알려진 위협과 알려지지 않은 위협을 동시에 차단한다. 엔드포인트 내외부 위협을 통합 모니터링하며, 자동화·가이드 기반 대응과 고급 조사 도구를 제공한다.

또한 클라우드 샌드박스(Cloud Sandbox)와 연계해 악성 파일을 신속 분석하고 IoC 스캔을 강화한다. 시스템 하드닝 기반 취약점 관리와 중앙 패치·암호화 관리로 운영 효율성을 확보하며, 섀도우 IT 제어 기능으로 무단 클라우드 서비스 접근을 방지한다. 기존 EDR 옵티멈 사용 기업은 데이터 손실 없이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관리형 보안 서비스 확장

MXDR 옵티멈은 내부 보안 역량 구축 부담을 덜고자 하는 기업을 위해 24/7 관리형 보안을 제공한다. 기업은 기본 툴을 활용해 1차 위협 분석을 수행하고, 카스퍼스키 팀은 AI 기반 알림 분석과 실시간 대응을 지원한다. 이 협업 구조는 위협 탐지부터 복구 가이드 제공까지 아우르며, 기업은 내부 리소스를 최소화하면서도 고도화된 보안 체계를 운영할 수 있다.

카스퍼스키 제품 총괄 일리야 마르켈로프는 “최소한의 시간과 자원으로 회피형 공격 방어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며 “고객은 독립적인 XDR 운영 또는 MXDR 관리 서비스를 선택해 고품질 보호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효은 지사장은 “한국 기업은 은밀한 표적 공격에 직면해 있으며, 하이브리드 환경 최적화된 이번 솔루션으로 취약점 관리와 위협 추적을 강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두 제품은 AI 기반 자동 방어와 유연한 배포 기능을 통해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하며, 한국 기업 보안 전략과 부합하는 맞춤형 체계를 제공한다.

 

[알림] 글로벌 번역 전문 기업 딥엘(DeepL)이 오는 9월 24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GTT SHOW의 GTT Webinar 플랫폼을 통해 ‘대량 데이터 번역 품질을 한 단계 높이는 DeepL API 활용 전략’을 주제로 무료 웨비나를 개최한다. 이 웨비나에서는 딥엘 API의 고급 기능과 실제 비즈니스 현장 적용 전략을 구체적으로 다루며,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