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함께 기업의 IT 인프라는 기존 온프레미스에서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특히 컨테이너, 마이크로서비스, 쿠버네티스 기반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은 민첩성과 확장성을 극대화해 AI와 데이터 워크로드 운영을 최적화하는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았다. 이에 맞춰 기업들은 AI 기반 운영 자동화(AIOps)와 데브옵스(DevOps)를 결합한 차세대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AI 및 클라우드 인프라 솔루션 전문기업 다올티에스(대표 홍정화)가 클라우드 네이티브 사업팀을 신설해 AI와 클라우드 융합 기반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한다. 컨테이너 기반 인프라, AI 레디 클라우드 플랫폼(Ready Cloud Platform), 글로벌 파트너 협업 등을 핵심 전략으로 설정했으며, 3년 내 100억 원 매출 달성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 혁신 전담 ‘클라우드 네이티브 사업팀’ 출범
다올티에스는 이번 조직 개편을 통해 신설된 ‘클라우드 네이티브 사업팀’을 전략사업본부 내 핵심 부서로 운영한다. 해당 사업팀은 급성장 중인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시장 수요에 대응해 AI·데이터 워크로드 최적화, 컨테이너 기반 전환, 클라우드 운영 자동화 전반을 아우르는 전문 지원을 제공한다.
주요 역할로는 첫째, 고객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프로젝트를 총괄하며 아키텍처 설계, 엔지니어링, 운영 등 전 과정에 대한 컨설팅을 수행한다. 둘째, AIOps와 DevOps를 결합한 자동화 운영 체계를 기반으로 데이터 중심 AI Ready Cloud Platform을 제안하고 구축한다. 셋째, 자체 올인원 AI 플랫폼인 ‘다올 퓨전’과 연계해 서비스 안정성과 확장성을 강화한다. 이를 통해 고객은 운영 효율을 극대화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환경에서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다올티에스는 글로벌 파트너사와의 전략적 협력도 강화할 방침이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사업팀은 해외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글로벌 ISV, AI 솔루션 벤더 등과의 연계를 확대해 최신 기술을 내재화하고, 고객 맞춤형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모델을 제시한다. 동시에 파트너 생태계를 육성해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수준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경험하도록 지원한다.
향후 계획 측면에서, 다올티에스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사업팀을 통해 ▲컨테이너 기반 AI Ready Cloud 전환 사업 확대 ▲ISV와의 기술 협업 강화 ▲AI·클라우드 파트너 육성 ▲고객 산업별 특화 플랫폼 개발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3년 내 100억 원 매출을 달성하고, 장기적으로는 AI·보안과 결합된 차세대 클라우드 네이티브 플랫폼을 아시아 시장에 확산시킬 계획이다.
특히, 기존 인프라 사업부와의 협력을 통한 시너지 창출도 핵심 전략으로 꼽힌다. 다올티에스는 보안 사업팀과 AI 사업팀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필수적인 보안·AI 통합 기능을 강화한다. 이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안전하고 효율적인 클라우드 경험을 제공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춘 통합 솔루션을 제시한다.
홍정화 다올티에스 대표는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고객 비즈니스 경쟁력과 AI 혁신을 뒷받침하는 핵심 기반”이라며, “새로운 사업팀을 통해 최적의 클라우드 경험과 AI Ready Cloud Platform을 제공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다올티에스-모코엠시스-애자일소다, 지능형 문서중앙화 AI 시스템 구축 협력
- 다올티에스-LG AI연구원, 산업 특화형 생성AI 어플라이언스 개발 협력
- 다올티에스-EDB, Postgres AI 협력...데이터 레이크하우스 기반 엔터프라이즈 AI 강화
- 다올티에스-몬드리안에이아이, AI 인프라·MLOps 통합 플랫폼 공급 협력
- 다올티에스, ‘다올퓨전’ 플랫폼과 에이전트형 AI 서비스로 기업 현장 정조준
- 다올티에스, 팔로알토 네트웍스 ASC 자격 획득
- VM웨어 대안 통합 인프라 ‘수세 아토 팜’...교육기관 AI·가상화 전환 지원
- 다올티에스-업스테이지, AI 생태계 확장 협력 강화
- 다올티에스, 올인원 AI 플랫폼 ‘다올퓨전’ 공식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