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이 높은 확장성과 에너지 소비 절감 기능을 갖춘 차세대 리눅스원(LinuxONE) 서버를 공개했다. 이번에 새롭게 공개된 리눅스원 서버는 높은 확장성을 갖춘 리눅스와 쿠버네티스 기반 플랫폼으로, 단일 시스템 상에서 수 천 개의 워크로드를 지원하는 확장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됐다. 이번에 공개된 IBM 리눅스원 엠퍼러 4(IBM LinuxONE Emperor 4)는 고객들의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예를 들어, 유사한 조건에서 운영되는 x86 워크로드를 5대의 IBM 리눅스원 엠퍼러 4 시스템으로 통합할 경우, 에너지 소비량 최대 75%, 상면 공간 50%, 탄소 배출량을 연간 850 미터톤 절감할 수 있다.

IBM IBV(Institute for Business Value)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업계 전반의 CEO 중 48%가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향후 2~3년 동안 조직의 최우선 과제 중 하나라고 답했다. 동시에 응답자의 51%는 데이터 인사이트 부족, 불확실한 투자수익, 기술적 장벽 등을 이유로 지속가능성을 기업이 당면한 큰 도전 과제라고 답했다. 이들에게 현재 널리 통용되고 있는 인프라 도입을 통한 비즈니스 확장은 지속가능성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게 만드는 장애물이 될 수 있다.

IBM 리눅스원 엠퍼러 4는 수직확장을 기반으로 수평확장이 가능(scale-out-on-scale-up)하도록 설계됐기 때문에, 에너지 사용량이나 온실 가스 배출을 늘리지 않으면서 사용되지 않는 코어를 활성화함으로써 고객이 지속적으로 고도로 집적된 워크로드를 수행하고 용량을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더불어 고객은 IBM 인스타나 오브저버빌리티(Instana Observability)를 통해 리눅스원 서버의 에너지 소비량을 추적할 수 있다.

IBM의 지속가능성 관련 기술 포트폴리오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접근 방식을 준용해, 에너지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인프라를 설계, 배포 및 관리하는 솔루션을 포함하고 있다. IBM 리눅스원은 이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솔루션으로서,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동시에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데이터센터를 최적화하도록 설계됐다.

마르셀 미트란(Marcel Mitran), IBM 펠로우 겸 IBM 리눅스원 클라우드 플랫폼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데이터센터는 기업의 에너지 사용량 중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하는 에너지 집약적인 시설이다. 그렇지만 데이터와 기술을 통해 기업은 지속가능성에 관한 목표를 행동으로 옮길 수 있다”며,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는 것이 탄소발자국을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이다. 이런 관점에서 IBM 리눅스원으로의 전환이 기업으로 하여금 디지털 비즈니스를 위한 지속가능성 목표는 물론, 확장성과 보안 목표까지 달성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디자인됐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