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비즈니스 핵심은 고객경험이다. 고객경험을 향상시키지 못하면 사용자들의 외면을 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고객경험을 파악한다는 것은 고객의 데이터를 제대로 활용하고 분석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DX전문기업 LG CNS가 약 57만명의 기업 임직원들이 이용하는 이커머스 서비스 ‘라이프케어’의 쇼핑 데이터 세트를 KDX (한국데이터거래소)에 신규 등록하며, ‘데이터 상생’ 생태계 확산에 나서고 있다.
이번에 등록되는 데이터는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비식별 데이터와 통계·집계 데이터들이다.

라이프케어는 LG 그룹과 고객사, 협력사들이 이용하는 이커머스 서비스로 현재 약 930개 회원사를 보유 중이다. LG CNS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LG 계열사 특가 제품을 포함한 소비재 상품과 여행, 도서, 건강관리 등 복지콘텐츠를 임직원 혜택가로 제공하고 있는 복지몰이다.
KDX는 2019년 12월 출범한 국내 첫 민간 데이터 거래소이자 유통·소비 빅데이터 플랫폼이다. 데이터 거래는 물론 이종 데이터를 융합·가공해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생산하고 있다.
LG CNS가 공개한 데이터는 △요일·시간대별 △지역별 △성별·연령대별 △상품 카테고리별 구매 트렌드와 △장바구니 구매 전환율 등 라이프케어 사용자들의 쇼핑 패턴을 분석한 데이터다.
LG CNS는 8월부터 라이프케어 데이터와 함께, LG CNS 마이데이터 서비스 ‘하루조각’의 사용자 분석 데이터도 KDX에 등록하고 있다. 하루조각 데이터는 마이데이터 서비스 사용자들의 유튜브 Top 50 시청 키워드와 카페, 편의점, 골프 등의 이용 패턴을 통한 사용자 관심지수 데이터를 포함한다. 마이데이터 또한 비식별 데이터와 통계·집계 데이터만 해당된다.
기업고객은 KDX 웹사이트나 앱에 접속해 데이터를 구매하고, 소비자 맞춤 서비스나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다. 데이터는 성격에 따라 무료 또는 가격 협의 진행 후 구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 거주, 30대 초반 여성, 금요일 오후 주요 구매 제품’이라는 통계 데이터를 확보한 기업고객은 소비자들에게 맞춤형 쇼핑 쿠폰을 발행할 수 있다.
LG CNS B2X Service담당 겸 데이터결합분석센터장을 맡고 있는 윤미정 상무는 “여러 산업 분야의 데이터 결합과 지속적인 양질의 데이터 공유를 통해 데이터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데이터 분야 고객경험 혁신을 제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클라우드 기반 차량 데이터 수집, 분석 서비스로 자동차 기능 향상 추구한다
- LG CNS가 DX 위해 구글과 손잡은 이유는?
- 키넥시스, LG CNS와 손잡고 클라우드 기반 SCM 솔루션 국내 공급
- 한국IBM-LG CNS, 글로벌 향 서비스형 설비관리 솔루션 시장 협공
- 지속가능한 미래와 경험 경제를 견인하는 기업들
- AI 기반 디지털 청사로 탈바꿈하는 정부세종청사, 어떻게?
- 세일즈포스-LG CNS, 협력 강화로 국내 기업 디지털 혁신 선도
- 국내 이커머스 판매 채널은 '스마트스토어'가 압도적 우세
- LG CNS, 2023년 정기 임원인사
- LG CNS, 블록체인 기술 기반 모바일 사원증 '띠딧' 공개
- 민간 플랫폼과 통합 데이터지도 연계 확대...검색 편의성 증대
- 파수, 개인정보 비식별화 솔루션 'ADID'…'가명정보 처리 가이드라인' 업데이트
- LG CNS, IT 서비스 위한 DX 핵심 허브 '통합 IT서비스센터' 개소
- 경북형 공공마이데이터플랫폼, 블록체인 기반 DID 기술 도입
- LG CNS, 어도비와 협력 통해 고객의 디지털 경험 개선 나선다
- LG CNS-SAP, 차세대 ERP 프로젝트 본격 시동
- LG CNS, 마이크로소프트와 생성형 AI 분야 사업 확대 나선다
- AI와 슈퍼컴퓨터가 개발한 골프 퍼터, 퍼팅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