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달 15일 발생한 SK C&C 데이터센터 화재는 데이터센터에 의존하고 있는 많은 기업들에게 우려를 남기고 있다. 이에 정부가 민간 데이터센터의 재난 관리에 대한 합동 실태 점검에 나서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 소방청(소방청장 직무대행 남화영)은 관계부처 합동으로 11월 1일부터 24일까지(18일간) 민간에서 운영 중인 90개 집적정보통신시설(이하 ‘데이터센터’)의 재난 안전 관리 합동 실태점검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번 합동점검은 SK C&C 데이터센터 화재사고가 주요한 디지털 서비스의 장애로 이어지는 상황이 발생하였기에 이에 대한 조치이다. 화재 등의 응급, 재난상황에서 데이터센터의 업무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사전 준비단계로서 실시된다.
우선 과기정통부와 소방청은 민간에서 운영 중인 전국 90개의 데이터센터 점검을 위해 소방, 전기 등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하는 5개의 합동 점검반을 구성하고, 업무연속성(BCP) 계획, 모의훈련 등 재난 예방 대비 조치와 전력 이중화 설비 운용 적정성 등 보호조치 전반에 대해 운영 실태를 점검할 예정이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지난 31일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 소속의 팀장 등 9명의 팀원으로 구성된 '디지털재난대응 전담팀'을 신설했다.
향후 과기정통부는 이번 실태점검 결과 등을 바탕으로 데이터센터 및 부가통신서비스의 재난 대비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법·제도적 개선을 포함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 지멘스, 클라우드 기반 PLM '팀센터 X' AWS 한국 리전 통해 공급
- 메가존소프트-알리바바 클라우드, 글로벌 사업 확대 맞손
- 클라우드를 데이터센터에 구현하는 방법, AWS Outpost
- SDDC 기반 온프레미스 클라우드를 효율적으로 구현하려면?
- 온프레미스·클라우드 통합 데이터 관리 플랫폼, '베리타스 알타' 공개
- 데이터센터 화재 사건으로 급부상하는 클라우드 활용 DR 서비스
- 카카오 서비스 중단... 일상의 중단으로 이어져
- 비즈니스 연속성 확보는 재해복구에서 부터 시작한다
- AI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이 쉬워진다!
- 보안성·고가용성·효율성 높은 최적의 기업 클라우드 보안 전략은?
- AI·데이터 기반 ‘23년도 "디지털 공공서비스 혁신 과제(프로젝트)" 사업 공모 실시
- 과기정통부, '2022 전파방송산업 진흥주간' 개최
- 국제 표준화되는 한국형 SaaS 품질 측정
- 초고민감도 분자 카이랄성 측정기술 "국내 개발"...신소재 개발 가속화 기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