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투스 기술 표준을 관리, 감독하는 비영리 조직인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는 매년 블루투스 시장 업데이트를 통해 최신 기술 동향과 다양한 시장에 걸친 트렌드 등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이번에 발표한 '2023년 블루투스 시장 업데이트' 보고서는 지난해 7월에 출시된 LE 오디오와 오라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오디오의 향후 성장과 블루투스 클래식 오디오에서 LE 오디오로의 전환에 대한 예측을 다루고 있다.

또한, ESL(Electronic Shelf Label)의 글로벌 표준 도입과 전체 시장 규모가 10조 개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앰비언트 IoT와 같은 새롭게 성장하는 시장에 대한 내용도 담고 있다.

특히, 올해 블루투스 시장 업데이트에서는 블루투스 기술의 발전 방향과 시장에서의 영향력 뿐만 아니라 소비자와 상업,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혁신적인 솔루션을 찾고 있는 블루투스 SIG 회원사의 노력에 대해서도 강조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성장이 수요 견인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이 공급망에 영향을 미치고 스마트폰, 자산추적기, 음성제어 프런트 엔드 등 특정 디바이스들이 단기적으로 공급 부족 현상을 겪으면서 많은 글로벌 시장은 격동의 시기를 보냈다. 단기적 성장 전망치는 작년보다 약간 낮아졌지만 분석가들은 향후 5년간의 예측 중 후반부에 걸쳐 더 높은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양한 솔루션 부문이 성장에 기여했지만 팬데믹으로 인해 지난 5년 동안 원격 근무 비중이 44%가량 높아지면서 PC 액세서리 수요 역시 성장했다. 또한,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웰니스 트래커(wellness trackers)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수요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 블루투스 기능이 지원되는 디바이스의 연간 출하량은 향후 5년 동안 연평균 9%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7년까지 76억 대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새로운 오디오 경험과 시장 개척하는 LE 오디오

20년간의 혁신을 바탕으로 지난해 7월 출시된 블루투스 LE 오디오는 블루투스가 제공하는 솔루션 영역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오디오 스트리밍에 더욱 향상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LE 오디오는 오디오 소스 장치(예: 스마트폰, 태블릿, TV나 PA 시스템)가 하나 이상의 오디오 스트림을 무제한의 오디오 싱크 장치(예: 이어버드, 스피커, 보청기 등)로 방송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인 ‘오라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오디오’를 선보였다. ‘오라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오디오’는 개인이나 위치 기반 오디오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등 새로운 기회를 개척하고 있다.

분석가들은 향후 5년 동안 공공장소에서 오라캐스트를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크게 늘어나고 이의 도입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를 통해,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블루투스 오디오 주변기기의 가치를 높이며 오디오 접근성에 대한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는 보조 청취 솔루션을 위한 확장 가능성을 열어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2030년까지 250만여 장소에 오라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오디오가 보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LE 오디오 디바이스의 채택 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ESL, 새로운 대규모 시장으로 부상

ESL 시장을 위한 무선 표준이 도입되면서 언제나 정확하게 가격을 책정하고, 실시간 프로모션과 제품 정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이고 응집력 있는 옴니채널 경험을 제공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27년까지 3억 3400만 대의 블루투스 ESL 디바이스가 출하될 것으로 예상된다.

매우 큰 잠재력을 보유한 앰비언트 IoT

매우 저렴한 새로운 종류의 태그가 등장하면서 앰비언트 IoT라고 불리는 완전히 새로운 범주의 블루투스 추적 솔루션이 등장하고 있다. 다양한 업종에 걸쳐 총 10조 대 이상의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하는 앰비언트 IoT 솔루션은 식품, 의약품, 반품 가능한 자산과 같이 유통기한이 임박한 상품을 지원하는 고속 체인 구축에 초점이 맞춰져 공급망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블루투스 기술을 통해 유비쿼터스하고 성숙한 생태계가 이미 잘 구축되어 있을 뿐 아니라, 태그나 수신기를 위한 저비용 디바이스 지원 기능이 결합돼, 앰비언트 IoT 시장은 더욱 더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