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B는 오늘, 오픈소스 DBMS인 ‘포스트그레SQL 15(PostgreSQL 15)’를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포스트그레SQL 코드 기여자 분석(Analysis of Code Contributions)’을 수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스트그레SQL 코드 기여자 분석 조사 결과에 따르면, EDB에 재직중인 기술자와 개발자들이 전 세계적으로 포스트그레스(Postgres) 커뮤니티에서 코드 기여자로서 가장 많이 활동하고 있어, EDB가 포스트그레SQL 성능을 개선하고 최신 기능을 개발하고 있는 주요 기여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EDB는 지난 2022년 9월에 발표된 포스트그레SQL 15를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포스트그레SQL 코드 기여자 분석’을 수행했다. 이를 위해 릴리스 노트와 포스트그레SQL 프로젝트의 기여자/커미터(Contributors/Committers) 목록을 참조해 PG15 개발 라이프사이클 동안 각 기여자를 고용한 지원 기업을 분석했다. 분석을 위해 링크드인, 포스트그레SQL 메일링 리스트를 비롯해,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사용해 각 개인의 이름을 조사했고, 해당 회사에 재확인했다. 알려지지 않았거나 독립적인 기여를 제외하고 한 명 이상의 기여자가 있는 모든 회사를 조사했다. 이 목록에는 핵심 팀원, 주요 기여자, 지명 기여자, 포스트그레SQL 15 기여자와 커미터를 포함해 초기 포스트그레SQL 15 릴리스에 기여한 총 144개 회사와 448명의 개인이 포함돼 있다.

EDB는 포스트그레SQL 코어 팀의 창립 리더가 모인 독립적인 포스트그레스 개발자 커뮤니티인 글로벌 개발자 그룹(PostgreSQL Global Development Group)의 일원으로 주요 포스트그레스 개발자와 기술자를 고용해 고객 지원 체계를 갖추고 있다. EDB는 지난 2004년 설립 이후로 포스트그레스를 통해 수천 개의 조직이 성공하는 데 기여해 왔으며, 특히 지난 2020년에는 포스트그레스SQL 솔루션 기업인 세컨드쿼드런트(2ndQuadrant)를 인수한 바 있다.
사라 콘웨이(Sarah Conway) EDB 클라우드 에반젤리스트(Cloud Evangelist / Cloud Solutions Architect)는 “오픈소스인 포스트그레스와 이를 지원하는 기타 오픈소스 기술과 관련해 코드 개발과 개선에 기여하지 않는 기업은 버그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만들 수 없다. 이에 호환성 오류, 버그 등의 문제해결을 위해 지원을 받고자 할 때 적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분이 제한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EDB, 오픈소스 DBMS ‘포스트그레스’ 전체 교육 과정 무료 공개
- 고가용성 오픈소스 DBMS로 다시 태어난 'EDB PGD 5.0'
- 암호화 기술 ‘TDE’로 데이터 보안성과 DBMS 호환성 높인 Postgres
- 오픈소스 DBMS 도입 이끌 '포스트그레SQL 15'용 도구와 확장모듈
- EDB, CUPIA의 국가관세종합정보망 오픈소스 DBMS 마이그레이션 추진
- 오픈소스 DBMS로 MSA 구축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현한 교보문고
- EDB, 글로벌 로드쇼 ‘EDB 포스트그레스 비전 서울’ 성료
- EDB, 케빈 댈러스 CEO 선임
- 유라, EDB 기술지원 서비스 'TAM' 도입으로 IT 리소스와 비용 50% 절감
- 클라우드에서 99.995% 가용성 제공하는 DBMS 'EDB 빅애니멀용 분산 포스트그레스'
- 오픈소스 포스트그레스 배포와 관리를 자동화하는 'EDB TPA'
- EDB, ‘스플릿그래프’ 인수로 빅데이터·AI 역량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