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바바 클라우드가 지난 3월 발표한 ‘2023년 아시아 차세대 클라우드 전략 보고서’에 의하면 아시아 지역 기업들이 클라우드 전략과 클라우드 공급업체를 선택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은 보안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클라우드를 사용 중인 아시아 지역 8개 시장 1000개 조직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현재 전략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로 보안성을 꼽았다(프라이빗 클라우드 74%,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70%, 퍼블릭 클라우드: 58%). 또한, 전체 응답자의 3분의 2 이상이 클라우드 벤더 선택 시 보안성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69%)했다고 답했으며, 이는 가용성(58%)이나 비용(55%)과 같은 타 요소보다 더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클라우드 벤더 선택에 있어 보안성을 중요시하는 경향은 각 시장과 산업군 전반에 걸쳐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특히 필리핀(85%), 인도네시아(82%), 태국(78%)과 제조업, 미디어·통신, 금융 서비스 부문에서 두드러졌다. 지난 2021년 공개된 이전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58%)이 클라우드 벤더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보안 자격증명”을 꼽은 바 있다.

한편, 기업이 효과적인 클라우드 전략을 구현하는 데 겪는 주요 장벽으로는 불충분한 직원 교육(프라이빗 클라우드: 42%, 퍼블릭 클라우드 37%)과 예산 부족(프라이빗 클라우드: 36%, 퍼블릭 클라우드: 36%)이 꼽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모든 유형의 클라우드 사용 기업이 ‘운영 효율성 개선’을 클라우드 도입의 가장 큰 효과라고 답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71%, 퍼블릭 클라우드: 62%, 프라이빗 클라우드: 60%).

퍼블릭 클라우드 사용 기업은 클라우드 도입의 다른 이점으로서 비즈니스 연속성 향상(47%), 원격 근무자 지원 개선(45%), 보안·위험 관리 개선(44%) 등을 꼽았다.

이 조사결과에 따르면 많은 기업이 아시아나 지역 내에 기반을 둔 클라우드 벤더를 사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38%). 또한, 지난 2021년 설문조사 대비 더 많은 91%의 기업이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 경험이 기대치를 충족 또는 초과했다고 답함으로써 아시아 지역 내 클라우드 서비스의 품질이 높다는 점을 방증했다.

태국에서는 특히 높은 비율의 기업이 아시아 또는 지역 기반 클라우드 공급업체를 선택(64%)한 반면, 한국에서는 자국 내 벤더를 이용하고 있는 기업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56%).

산업별로는 제조업 분야의 기업이 아시아 또는 지역 기반 클라우드 공급업체를 이용하는 경향이 높았으며(42%), 반면 리테일(45%)과 공공부문(45%)에서는 현지 클라우드 공급업체를 선호하는 비중이 더 높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