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A는 애플리케이션을 작은 서비스 단위로 분리하여 각 서비스가 독립적으로 개발, 배포, 확장할 수 있는 아키텍처로 애플리케이션의 확장성, 유연성, 안정성, 보안성,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클라우드 디지털 플랫폼 전문 기업 메가존이 최근 LG U+ IP TV 플랫폼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 전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미디어 인더스트리 영업 본격 행보에 나섰다.

메가존은 지난 2021년 5월 LG U+ IPTV 플랫폼을 MSA로 전환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한 이후 2년여에 걸친 작업을 통해 LG U+ IPTV 플랫폼을 MSA로 전환하는데 성공했다. 대규모 IPTV 방송 서비스 플랫폼을 MSA로 전환하는데 성공한 것은 이번이 국내 최초다.
방송 서비스는 방대한 영상 데이터와 실시간 방송 등이 결합돼 있는 컨텐츠의 다양성으로 인한 작업의 복잡도 때문에 MSA 전환이 가장 어려운 분야 가운데 하나다. 이 때문에 차세대 플랫폼의 핵심 기술로 각광받고 있지만 고도의 개발 역량과 클라우드 기술 이해도가 뒷받침돼야 수행이 가능한 프로젝트로 평가된다.
이번 LG U+의 IPTV 플랫폼의 MSA 전환 프로젝트는 성능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수정이나 기능 추가 시 전체 서비스가 중단없이 하는 것이 핵심 목표였다. 또한 장애가 발생 시 장애 범위를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 과제 가운데 하나였다.
메가존은 이번 프로젝트를에서 기획 부터 설계, 수행에 이르는 모든 단계의 업무를 총괄했다. 특히 일시에 대규모 기능개선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 대신 서비스 무중단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IPTV 플랫폼의 기능을 개선하고 추가하는 방식을 채택해 고객 불편을 최소화했다.
MSA 전환 결과 신규 서비스나 앱 개발 속도가 7배 개선되는 성과를 거뒀고, 과거 1주일 이상 걸리던 고객 장애 신고 처리도1~2일 내 신속히 해결할 수 있게 됐다. 특히 클라우드 환경 구축으로 대량 접속으로 인한 품질저하 방지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메가존 조영국 부사장은 “LG U+ IPTV MSA 전환 프로젝트 성공은 국내 미디어 엔터프라이즈 분야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선도적 사례라고 자신한다.”며 “클라우드 컴퓨팅이 가진 유연하고 탄력적인 기능 구현과 운영기술을 바탕으로 미디어 분야 외에도 더 많은 성공사례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메가존클라우드-키토크AI, B2C 마케팅 위한 생성AI 기반 서비스 개발 협력
- 메가존클라우드, 시스코와 구독형 IT 서비스 'Meraki in FiT' 출시
- 메가존, 비트나인의 RDB·GDB 솔루션 총판 계약 체결
- 메가존클라우드, 연세의료원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의료·헬스케어 분야 DX 사업 본격화
- 메가존클라우드, 이음5G 기간통신사업자에 선정...통신 장비·서비스·CSP·MSP 연합 서비스 제공
- 제조, 금융, 서비스 등 전 분야에서 로우코드에 관심 몰려
- 챗GPT, 국내 기업들은 얼마나 효과를 보고 있나
- 메가존클라우드, AWS MSP 프로그램 버전 5.0 획득
- “클라우드 시대의 보안 전략부터 서비스...여기서 확인하라”
- 변화하는 클라우드 인프라의 보안 운영 관리 방안
- 메가존-오토메이션애니웨어, AI 기반 RPA 시장 확대 맞손
- 메가존클라우드-누베바, 랜섬웨어 복구 서비스 맞손
- 메가존클라우드-동양대, 게임·클라우드 산업 육성 협력
- 메가존, 고용노동부 ‘2023 워라밸 실천 우수기업’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