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현장의 자동화와 디지털 전환은 개별 생산 방식에 따라 복잡하고 폐쇄적인 프로토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스마트 자동화와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는 개방성을 기반으로 디지털 기술을 통합하고 데이터를 운용되는 것이 중요하다.
글로벌 산업 자동화 기업 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이하 슈나이더)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사업전 2022'에서 7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범용 자동화 소프트웨어인 '에코스트럭처 오토메이션 엑스퍼트'를 소개했다.
이 솔루션은 IEC 61499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타사 솔루션과도 쉽게 통합되는 하드웨어 독립형 자동화 시스템이다.

이 간담회의 키노트 연사로 나선 자동차 사업부 서상훈 본부장은 연설에서 "원격관리와 탄소 중립 등을 위해서는 차세대 산업 현장에 개방성에 바탕을 둔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제품 개발의 취지를 강조했다.
슈나이더의 김건 마케팅 매니저는 “현대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민첩성과 유연성을 제공할 할 산업용 사물인터넷(IIoT)을 완전히 실현하려면 플랫폼을 개방하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분리해 민첩성과 확장성을 향상해야 한다”고 전하며 금번 신제품 역시 이러한 슈나이더의 디지털 전략 방향을 대표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수린 기자
suerynn@gttkore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