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각 산업 수요에 맞춰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전환 솔루션을 개발하는 전문 기업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런 추세에 맞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하 NIPA)가 올해 처음 시행하는 ‘2022년 산업 연계형 디지털 전환 전문 기업 육성 사업’에 10개 수행 기관과 9개 과제가 선정됐다. 

2022년 산업 연계형 디지털 전환 전문 기업 육성 사업에 10개 수행 기관과 산업별 총 9개 과제가 선정됐다
2022년 산업 연계형 디지털 전환 전문 기업 육성 사업에 10개 수행 기관과 산업별 총 9개 과제가 선정됐다

이번 사업은 중소·중견기업의 디지털 전환 역량을 높이기 위해 각 산업에서 필요한 디지털 전환 솔루션을 개발하는 전문 기업의 육성을 목표한다. 또 각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전환 전문 기업의 유망 솔루션을 발굴하고, 솔루션 수요 기업에 대한 실증(PoC) 및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과기정통부와 NIPA는 산업 수요 기반의 유망 디지털 전환 솔루션 발굴 및 실증에 22억5000만 원, 솔루션 실증에 참여한 디지털 전환 전문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에 13억5000만 원 등 총 36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이번 산업 연계형 디지털 전환 전문 기업 육성 사업에는 제조·유통·조선·에너지·정보통신·의료·관광·소방 등 다양한 산업 분야별로 적용할 수 있는 9개 과제와 함께 10개 수행 기관이 선정됐다. 에스넷시스템, 무브, 스마트선박벤처기술 등이 주관하고, 휴비즈아이씨티 등이 참여한다. 9개 과제 가운데 8개 과제는 단독 수행, 1개 과제는 2개 수행 기관이 컨소시엄으로 추진한다.

분야별 선정 과제를 살펴보면, 인공지능 기반 실시간 제조 설비 에너지 최적화 서비스 플랫폼(제조 분야), 빅데이터/모빌리티 기반 글로벌 여행 서비스 플랫폼(관광 분야), 모바일 기반 선박 품질 관리 올인원 워크스페이스(조선 분야) 등 데이터, 인공지능과 관련된 디지털 기술 기반의 혁신 기업들이 눈길을 끈다.

사업 수행 기관으로 선정된 전문 기업은 실증 수요 기업을 대상으로 각 솔루션 구현 및 적용 타당성 실증을 지원받게 된다. 실증 비용은 기업별로 최대 2억5000만 원이며 유망성·확산성·수출 가능성을 고려해 우수 솔루션은 앞으로 산업부의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을 통해 국내 중견 기업 등의 수요처에 보급·확산할 계획이다.

또 해외 시장 조기 선점, 해외 매출 확대 등을 위해 디지털 전환 솔루션 실증 지원과 병행해 글로벌 현지 서비스화 및 현지 비즈니스 연계 등과 관련한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해외 진출의 경우 본투글로벌센터를 통해 솔루션 현지화 및 해외 수요 기업 연계를 지원하며 해외 시장 조사, 해외 진출 전략 수립, 해외 시장 검증 지원, 현지화 지원 등 기업별 수요를 기반으로 단계별로 실시된다.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