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컴퓨팅 기술 기업 엔비디아는 엔비디아 A100 텐서 코어 GPU(NVIDIA Tensor Core A100 GPU)가 네이버 슈퍼컴퓨터 세종(Sejong)에 탑재된다고 소개했다.
슈퍼컴퓨터가 위치한 지역의 명칭이자 한글 데이터의 생성과 확산에 전환점을 마련한 세종대왕의 뜻을 기린 슈퍼컴퓨터 ‘세종’은 엔비디아 A100 텐서 코어 GPU 2240개로 구성된다. 엔비디아 A100 텐서 코어 GPU는 엔비디아 암페어(Ampere) 아키텍처로 구동되며, 이전 세대보다 최대 20배 더 높은 성능을 제공하고 7개의 GPU 인스턴스로 파티셔닝해 변화하는 수요에 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슈퍼컴퓨터 ‘세종’은 엔비디아 퀀텀 인피니밴드(Quantum InfiniBand) 네트워킹 플랫폼과 인네트워크 컴퓨팅(In-Network Computing)을 통해 저지연, 고속 통신이 가능하다. 아울러 슈퍼 컴퓨터 전용으로, 3.6페타비이트(PB)의 스토리지를 구축했으며, 구축된 스토리지 네트워크 대역폭은 22Tbps이다.
슈퍼컴퓨터 ‘세종’은 최근 오픈한 네이버의 두번째 데이터센터 ‘각 세종’에 구축됐으며, 미국 덴버 콜로라도주에서 열린 고성능 컴퓨팅 국제 컨퍼런스 ‘SC23’에서 공개된 슈퍼컴퓨터 ‘톱 500’에서 22위를 기록했다. 슈퍼컴퓨터 ‘세종’의 연산 능력은 32.97PFlops를 기록했다.
배성철 기자
epsilondelta@gttkorea.com
관련기사
- '생성AI·LLM·HPC' 최적화 AI 컴퓨팅 플랫폼 '엔비디아 HGX H200'
- 5448개 GPU 탑재한 21엑사플롭 성능 AI 슈퍼컴퓨터 나온다
- 생성AI 위한 클라우드 기반 온디맨드 GPU 클러스터
- 지코어, 엔비디아 GPU 기반 클라우드 인프라 '생성형 AI 클러스터' 구축
- 오픈AI, GPU 부족 해결 위해 자체 AI칩 개발 나설까?
- 엔비디아, 허깅페이스에 생성AI 슈퍼컴퓨팅 플랫폼 제공
- 생성AI와 3D 시각화 가속하는 '엔비디아 OVX 서버'
- 디지털 리얼티, 최초의 엔비디아 DGX H100 지원 데이터 센터 발표
- [2024년 전망] 엔비디아 AI 전문가들이 내다 본 2024년 AI 산업
- AI 워크로드에 적합한 네트워크 스위치는?
- HD현대-팀네이버, 클라우드·AI로 DX 혁신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