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 기업들의 데이터 침해는 대부분은 과도하게 프로비저닝된 액세스로 인해 발생한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다양한 산업 분야의 조직이 원격 업무로 전환하면서 직원과 공급 업체들에게 전례 없는 양의 원격 액세스가 허용됐다. 지나치게 프로비저닝된 액세스가 허용되면 보안 위반와 악의적인 내부자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액세스를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정적 시스템은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지능과 규모가 갖춰져 있지 않다.
이를 위해 지능형 직원 수명 주기 관리 플랫폼인 하모나이즈(Harmonize)는 AI 및 ML 모델을 사용한 자동화로 ID 수명 주기를 관리하는 플랫폼을 출시했다.

이 소프트웨어는 자격 분석을 자동화해 IT 및 보안 관리자의 의사결정에 대한 적절한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ID 관리를 지원한다. 하모나이즈는 직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능적인 결정을 내리는 연결 조직으로, 기존의 수동 액세스 요청 프로세스를 대체한다.
하모나이즈는 페르소나 구성을 통해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실시간으로 액세스 이상 현상을 표시함으로써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하모나이즈는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기업용 올인원 플랫폼으로 무료 사용할 수 있는 3가지 솔루션을 제공한다.
ID, 거버넌스 및 관리 솔루션의 ML 모델은 배후에서 작동해 개별 직원에게 적용해야 할 적절한 액세스 양을 결정한다. 이러한 적시 접근 방식을 통해 조직은 보안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액세스 또는 거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직원 온보딩 및 오프보딩 프로세스는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이제 이 프로세스를 단일 플랫폼으로 통합해 직원의 온보딩, 역할 변경 또는 오프보딩 시 액세스를 추적, 부여 또는 취소할 수 있다. 100개 이상의 HRIS/ATS 시스템에 연결해 직원 데이터를 다운스트림 IT 시스템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감사 추적이 자동으로 기록돼 규정 준수 프로세스가 간단해진다.
플리트 디바이스 매니지먼트(Fleet Device Management)로 구동되는 하모나이즈 MDM은 직원 수명주기와 원활하게 통합돼 ‘오프보딩 시 장치 잠금’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백엔드에서 os쿼리를 활용하면 맥OS, 윈도, 리눅스와 크롬OS 전반에서 장치에 대한 원격 측정을 수행해 지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할 수 있다.
관련기사
- [기고] 조직이 자동화를 수용하는 이유
- “근로자 89% AI 활용, 기업에 필요한 AI 활용 정책은?”
- CISO의 95%, 사고 발생 이후 더욱 전폭적인 지원 받는다
- [기고] 기업이 알아야할 데이터 민주화 7대 동향
- [2024년 전망] 주목해야 할 사이버 보안 5대 트렌드
- 국내 기업 중 AI 도입과 활용이 준비된 기업은 5%에 불과
- [기고] 데이터 기반 IT 투자 극대화 및 최종 사용자 경험 향상법
- 직원 교육과 기술 격차 ‘생성AI가 해결’
- 사이버 보안·물리 보안, AI 기반으로 통합
- 블록체인 ID 관리 시장, 보안 우려 속 ‘급격한 성장세’
- [기고] CRM이 데이터 침해를 일으킬 수 있는 이유
- 스플래시탑, 에쓰티케이와 총판 계약 체결
- ‘기본만 지켜도’ 중요 보안 공격 85% 예방 가능
- [기고]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IAM 트렌드 5가지
- 5년 내 모바일 ID 보편화∙클라우드 기반 ID 관리 증가
- MSP용 통합 액세스 권한 관리 플랫폼
- 비밀번호 없이 ERP 시스템 인증 ‘보안 강화, 프로세스 단순화’
- 클라우드 보안 위협 증가 ‘사용자 프로비저닝 시장’ 성장 촉진
- MDM vs CDP, 당신의 조직에 맞는 데이터 관리는?
- 수익은 올리고 보안은 강화하는 ‘ID 관리 솔루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