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HPE(대표 김영채)는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 설치한 최초의 우주 내 상업용 엣지 컴퓨팅 및 AI 지원 시스템인 HPE 스페이스본 컴퓨터-2(SBC-2)가 24건의 연구 실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또 분석 결과를 얻는 데 수개월, 수일이 소요되던 시간을 분 단위로 단축했다고 밝혔다. 

H
콜롬버스 모듈 안에 SBC-2(사진=NASA, HPCwire.com)

SBC-2는 인간이 더욱 깊은 곳으로의 우주로 여행함에 따라 궁극적으로 컴퓨팅을 발전시키고 통신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큰 미션의 일환이다.

이번 실험에는 우주 비행사의 자율성을 높이고, 우주 공간에서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신규 애플리케이션의 테스트 및 실시간 데이터 처리와 테스트 등이 진행됐다. 헬스케어, 이미지 처리, 자연 재해 복구, 3D 프린팅, 5G 및 AI 지원 솔루션 등의 사용 사례가 있었다. 

HPE는 ISS 국립 연구소와 협업해 2021년 2월 스페이스본 컴퓨터-2를 우주로 발사했고, 2021년 5월 국제우주정거장에 설치했다. 이 시스템은 HPE의 엣지 컴퓨팅 솔루션인 HPE 엣지라인 컨버지드 EL40000 엣지 시스템으로 구성돼 있다.

이 시스템은 우주와 같은 거친 엣지 환경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된 견고하고 콤팩트한 것이 특징이며, 엣지, HPC, AI 등 워크로드 처리를 위한 HPE 프로라이언트 DL360 서버를 탑재해 성능을 높였다. 

SBC-2를 통해 제공되는 엣지 컴퓨팅 기능은 우주 비행사와 우주 탐험가들이 데이터를 상세히 분석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활용을 원할 때, 압축된 크기와 더욱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지구로 보낼 수 있다.

기존에는 1.8GB의 원본 DNA 배열 데이터 초기 처리를 위해 지구로 전송하는 데만 평균 12.2시간이 걸렸다. 그런데 SBC-2로 같은 데이터를 6분 안에 처리, 92KB로 압축한 다음 2초 만에 지구로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2만배의 속도 향상이다.

SBC-2는 국제우주정거장에 탑재된 이후, 액시엄(Axiom), 코넬대학교(Cornell University), 코뮤코어(Comucore), 마이크로소프트, NASA, 타이탄 스페이스 테크놀로지(Titan Space Technologies) 등과 수십 개의 실험을 수행했다.

우주복 장갑 내 탑재된 AI 손상 검사 기능을 통해 안전성 및 자급자족도 향상, 재난 발생 후 위성 이미지 자동 분석, 검증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3D 프린팅 기술 사용, 5G 코어 프로토타입을 통해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네트워크 기능 확장, 우주 이동 거리를 기반으로 연료 요구량을 계산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 개발 등이다. 

HPE 스페이스본 컴퓨터-2 책임 연구원 마크 페르난데스 박사(Dr. Mark Fernandez)는 “우주와 인류에게 혜택을 주는 협력 연구 공동체를 육성하는 데 도움을 제공했다”며 그 의의를 전했다.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