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들은 그 어떤 혁신적 기술보다 생성AI 기술에 대한 기업들의 기대가 높은 것으며, AI가 이번에는 열풍에 그치지 않고 비즈니스에 실질적인 효과에 낙관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IBM의 "2024 CEO 연구(2024 CEO Study)"에 따르면, 글로벌 CEO의 62%는 경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경쟁사보다 더 많은 위험을 감수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CEO의 72%는 업계의 변화를 기회라기보다는 위험 요소로 인식하고 있다. 그럼에도 62%가 미래에 성공하기 위해 기존의 강점을 살리기보다는 새로운 사업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 시작은 생성AI다. 생성AI가 큰 활용성으로 기대감을 주었지만 현재 생성AI 시험 운영에 집중하고 있는 기업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며, 나머지 24%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EO의 49%는 2026년까지의 성장을 위해 생성AI를 활용할 것이라 응답했다.

문제는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위해서는 기업내 모든 사람들이 함께 움직여야 하는데, 많은 직원이 생성AI를 자신을 도와줄 수 있는 도구가 아니라 자신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AI 기술이 업무를 더 쉽고 보람 있게 만들 수 있는지 직원들이 이해한다면 기업의 AI 도입은 크게 증가할 것이다. 실제 대부분의 CEO는 생성AI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술과 사람을 함께 육성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약 2/3는 기술 자체보다 사람들의 수용도가 성공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생성AI 활용에 필요한 또 다른 요소는 안전성으로 꼽혔다. CEO의 68%는 생성AI 솔루션이 배포된 후가 아니라 솔루션을 설계하는 단계부터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프로세스와 정책만으로는 부족하며, 사람들이 안전한 프레임워크 내에서 자유롭게 혁신할 수 있도록 AI 솔루션 자체에 내장된 안전 장치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무려 3/4의 CEO들이 기업 내 유효한 AI 거버넌스 없이는 신뢰할 수 있는 AI를 구현할 수 없다고 답했지만, 현재 제대로 된 AI 거버넌스를 갖추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39%에 불과했다.

김현정 한국IBM 컨설팅 대표는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는 데는 항상 위험이 수반된다. CEO들은 현재 자사의 기술과 운영 체계 수준, 시장 내 경쟁 입지뿐 아니라 역량과 문화 격차를 냉정하게 평가하고, 당분간 지속될 시장의 불확실성을 어떻게 차별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지 결정해야만 생성AI를 통해 시장을 앞서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M 기업가치연구소(IBV)가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와 협력해 2023년 12월부터 2024년 4월까지 26개 산업 분야, 30여개 국가에 걸친 2,500명의 CEO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기반으로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