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공인인증서의 법적 효력을 폐지하는 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이후, 시장에 다양한 전자서명인증 사업자가 등장해 국민들은 자신이 원하는 인증서를 자유롭게 선택해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각 홈페이지마다 요구하는 인증서들이 달라 사용자는 다수의 인증서를 발급받아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전자서명 도입 사업자(이하 ‘이용기관’)들은 이용자 수요에 맞춰 다양한 전자서명인증서를 연동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디지털인증확산센터 도입 이전과 이후 비교
디지털인증확산센터 도입 이전과 이후 비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이하 ‘KISA’)은 다양한 전자서명인증서 사용에 따른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인증서 간 상호연동을 지원하는 ‘디지털인증확산센터(이하 센터)’를 개소한다고 18일 밝혔다.

센터 개소식과 함께 국민은행, 금융결제원, 네이버, 농협, 카카오, 통신3사 등 21개 전자서명인증사업자간 원활한 인증서 상호연동을 위한 기관 간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센터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인증서간 상호연동에 필요한 표준 개발과 함께, 표준이 적용된 통합모듈 소프트웨어 제작 도구(SDK)를 배포할 예정이다. 이용기관은 다양한 인증수단을 한 번에 설치·도입할 수 있고 국민들은 인증서를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시범운영을 통해 서비스를 안정화한 후 연말부터 정식으로 출시할 예정이며, 향후 상호연동 점검, 성능·부하 시험 등을 지원하는 테스트랩을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영세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안전한 인증 구현을 위한 컨설팅을 제공하는 등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디지털인증확산센터를 통해 국민과 이용기관의 인증서 이용의 불편을 해소하고, 안전한 전자서명 이용 환경을 조성해 디지털 전환 시대에 더욱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인증수단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