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해외에 체류하는 국민은 국내 디지털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해 거주지 근처 재외공관을 방문해 대면으로 신원을 확인한 후 인증서를 발급받거나, 본인확인 용도의 국내 휴대전화를 해외에서 유지해야 하는 등 많은 불편을 겪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이하 ‘KISA’)은 국내 온라인 서비스 이용 시 본인확인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재외국민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위원장 고진, 이하 ‘위원회’), 재외동포청(청장 이기철, 이하 ‘동포청’) 및 5개 전자서명인증사업자(국민은행, 비바리퍼블리카,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와 업무협약을 18일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해외 체류 재외국민은 소지하고 있는 전자여권과 해외 체류 정보 등으로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신원을 확인하고 인증서를 발급받아 국내 온라인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주요 협약 내용으로 ▲동포청은 재외국민의 비대면 신원확인 정책 수립 및 시행 ▲위원회는 재외국민의 편리한 국내 디지털 서비스 이용환경 조성 ▲KISA는 재외국민의 신뢰성 있는 신원확인방법 마련 및 민관 상호연계 제공 ▲전자서명인증사업자는 재외국민 대상 안전한 전자서명인증서비스 제공 등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올해 말까지 주민등록번호가 있는 해외 체류 재외국민을 대상으로 5개 전자서명인증사업자의 앱(KB스타뱅킹, 토스, 신한은행, 우리WON뱅킹, 하나은행)을 통해 시범서비스를 적용할 예정이다.
김정희 KISA 디지털안전지원본부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재외국민이 국내 디지털 서비스 이용에 불편함을 겪지 않도록 안전한 신원확인 및 인증서 발급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재외국민의 국내 서비스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SGA솔루션즈, 정부‧공공 ‘제로 트러스트 도입 시범사업’ 수주
- KISA-인천국제공항공사, 공항보안 강화 협력
- KISA, 사이버 복원력 시험·평가 및 핵심 기술 개발 연구과제 수주
- KISA, ‘제13회 한국인터넷거버넌스포럼’ 개최
- 복잡했던 '전자서명인증서' 편하고 쉬워져....서로 다른 인증서간 연동
- [Success Story]통합인증 서비스로 간편해진 공공기관 로그인
- KISA, 정보보호 공시 사전점검 자율협의체 출범
- 민관 협력 'AI 공공서비스' 개발 착수
- KISA, 중소·영세 사업자 개인정보 처리방침 컨설팅 지원
- KISA-SK증권, 블록체인·정보보호 스타트업 지원 확대
- KISA, 구글·MS·네이버와 ‘인터넷 브라우저’ 보안 강화 협력
- KISA-과기정통부, ‘랜섬웨어 레질리언스 컨퍼런스’ 개최
- 한국인터넷진흥원 인사 발표
- KISA-과기정통부, ‘2024 모의 ICT 분쟁조정 경연대회’ 성료
- KISA, ‘2024 한글주간’ 행사 주관...'한글도메인' 체험 부스 운영
- 하나은행 ‘기술력 기반 ML모형’, 보유 기술로 기업 성장 가능성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