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사이버 침해 사고는 2022년 1142건에서 2023년 1277건으로 증가했으며, 올해 상반기에는 899건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5.4% 증가했다.
개인정보 유출 및 악성 링크의 클릭을 유도하는 피싱은 주요 위협으로 꼽혀왔으며, 업계는 2012년에 피싱 메일의 브랜드 사칭을 방지하기 위해 DMARC(Domain-based Message Authentication, Reporting & Conformance; 도메인 기반 메시지 인증, 보고 및 적합성)를 도입하고 있다.

디지털 보안 기업 디지서트(DigiCert, 지사장 나정주)가 기업의 이메일 보안과 브랜드 가시성을 강화할 수 있는 'CMC(Common Mark Certificate; 일반 상표 인증서)'를 17일 출시했다.
이 인증서는 등록 상표가 아닌, 선 사용에 의해 보호되는 로고를 보유한 기업도 이용할 수 있으며, 수신자의 받은편지함에 발신자의 로고를 표시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이메일 전달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됐다.
기업은 여전히 자사 이메일 도메인과 로고 소유권을 검증받아야 하지만, 디지서트의 CMC는 공휴일이나 공익 활동 주제로 변형된 로고처럼 등록 상표로 정식으로 보호되지 않는 로고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SPF, DKIM, DMARC 등 이메일 인증 표준을 준수하며, 최근 구글과 야후가 대량 이메일 발송자를 대상으로 설정한 요구 조건도 충족한다.
디지서트 나정주 지사장은 “디지서트의 CMC는 기존의 VMC(Verified Mark Certificate, 상표 표기 인증서)보다 간편하게 기업의 로고를 사용할 수 있어, 고객의 받은편지함에서 기업에 대한 신뢰와 브랜드 가시성을 높이는 동시에 상표 요구 조건 없이 BIMI(Brand Indicators for Message Identification, 브랜드 로고 기반 인증)의 이점을 제공한다.”라며 “디지서트는 기업이 보안과 브랜드 평판 모두에 더욱 중요해진 이메일 인증 표준을 충족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CMC는 이러한 노력의 결과물”이라고 전다.
관련기사
- 체크포인트, 프로스트 앤 설리번 ‘이메일 보안’ 리더 선정
- 하이브리드 업무환경 보안 강화하는 통합 이메일 보안 솔루션 ‘트렌드 비전 원 ECS’
- 사물 ID까지 수용한 ‘IoT ID 액세스 관리’ 진화중
- 최신 위협 방어 강화된 ‘AI 기반 이메일 보안 솔루션’
- 피싱 사이트 82% ‘모바일 기기 공격’
- 北 김수키, 이메일 취약점 악용 ‘스피어 피싱’ 감행
- 개인정보위, ‘AI로 악용되는 개인정보 노출·불법유통 대응 강화’
- 사이버 공격 증가에도 의료 분야 보안 조치 감소
- KISA, 민원 응대 보호시스템 전사 확대
- [2025년 전망] ‘PQC·신뢰·AI피싱’ 사이버 보안 명암 가려
- AI 기반 이메일 피싱 우려 급증
- [CES 2025] AI 비즈니스 이메일 공격, ‘셀카 기반 이메일 인증 솔루션’으로 방어
- 트림블, 실시간 3D 모델 협업 지원 차세대 BIM 소프트웨어 출시
- ‘카드 리더 인증’으로 보안 강화한 클라우드 기반 인쇄 솔루션...금융, 의료, 공공기관 적합
- 섀도우 AI 보안 위험 완화하는 생성AI 보안 제어 기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