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환경에서 AI 비서는 업무 효율화와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해 직원들이 더 중요한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도와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AI 비서를 활용해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AI 업무비서 전문회사 다큐브(대표 진주영)가 서울시 산하 공공기관 AI 전환 사업 일환으로 서울경제진흥원에 ‘AI인사비서’ 시범 서비스를 제공했다고 12일 밝혔다.
AI인사비서는 임직원들이 모바일에서 자연어로 인사 업무를 간편하게 조회하고 등록할 수 있는 AI서비스다. 서울경제진흥원 업무 포털 내 링크로 접속해 그룹웨어 이용이 어려운 외부에서도 팀별/개인별 근태 내역 및 조직도 정보 조회, 휴가/출장 등록 등을 직관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인사 업무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존 서울경제진흥원 직원들은 외부에서 인사 업무를 수행하는 데 제한이 있어 긴급 상황 발생 시 휴가 및 유연 근무 상신 등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제 AI인사비서를 도입하면서 급한 출장이 생긴 경우에도 ‘오늘 시내 출장 등록해 줘’라는 간단한 자연어 입력만으로 즉각적인 등록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정보화혁신팀 홍길동 출장 정보 보여 줘’, ‘홍길동 사원 시간외 근무 조회해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 인사 업무를 간편하게 조회하고 등록할 수 있다.
AI인사비서는 자연어 인터페이스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만을 제공해 편의성 및 데이터 보안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개인 및 부서의 권한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번 시범 운영은 다큐브가 제공하는 AI 업무비서 서비스와 연계해 진행됐으며, 생성AI 기술을 활용한 인사 행정 서비스 구축에 중요한 사례로 사용될 예정이다. 다큐브는 이번 기회로 공공기관의 인사 행정 업무를 지원하고, 효율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AI인사비서는 약 50명의 서울경제진흥원 직원들을 대상으로 12월까지 시범 운영되고 이후 실제 서비스로 활용될 예정이다.
한편 다큐브는 B2B 핀테크기업 웹케시그룹의 신설 법인으로 기업은행 AI영업비서, 포스코DX AI경영비서 등 다양한 AI업무비서를 제공하고 있다.
다큐브 진주영 대표이사는 “이번 시범운영을 기반으로 생성형 AI를 활용한 인사 업무 전반을 AI에이전트로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기고] 코파일럿 자율 에이전트가 여는 AI 혁신 여정
- 세일즈포스, 생성AI 기반 ‘아인슈타인 서비스 에이전트’공개...상담·고객 응대 향상
- 업무용 AI 비서 'ONE AI'...업무 생산성·보안성↑AI 환각↓
- [컴퓨텍스 2024] 노트북에서 만나는 AI 비서와 디지털 휴먼
- 2030년대 AI가 가져올 10대 트렌드
- 고객은 기다리지 않는다, AI로 혁신하라
- 유아이패스, ‘클로드 LLM’ 결합한 RPA...책임있는 AI·생산성 향상
- [2025년 전망] 직원 참여도 높이는 HR 성공 전략
- 중부발전, AI 업무비서 도입으로 업무 효율 증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