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선박 기술은 해운업계의 디지털 전환(DX)을 주도하며 자율선박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에는 필연적으로 증가하는 사이버 위협과 보안 문제를 동반하며, 이에 대한 해결책은 스마트선박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다.
DX 융합보안 전문기업 쿤텍(대표 방혁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과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주관 정보보호 핵심원천 기술개발사업의 ‘스마트선박 국제 규정 대응을 위한 핵심 보안 기술 개발’ 과제를 통해 스마트선박 보안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쿤텍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사이버 복원력 모델 기반의 선박 생애주기 플랫폼 아키텍처를 설계하며 체계적인 위협 탐지와 대응을 위한 취약점 분석 프로세스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해당 과제는 스마트선박의 사이버 복원력 모델을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이버 복원력 절차 관리 플랫폼을 개발 및 구현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쿤텍은 선박에 탑재된 기자재의 취약점을 탐지하고, 선박 내외부 네트워크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여 글로벌 스마트선박 사이버 복원력 플랫폼 시장을 확대할 방침이다.
특히 1차년도 수행을 통해 선박의 설계, 건조, 운영, 관리 단계가 포함된 생애주기 절차와 관리 플랫폼을 설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이버 복원력 모델 기반의 선박 생애주기 플랫폼 아키텍처를 구체화했다. 이 아키텍처를 중심으로 핵심 보안 기술을 적용해 통합 보안 관제 플랫폼을 개발하고, 위협 탐지와 대응을 위한 취약점 점검 프로세스를 설계해 스마트선박의 보안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쿤텍이 설계한 선박 생애주기 플랫폼은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 소프트웨어 자재 명세서)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SBOM은 선박 전체 구성요소의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핵심 정보로, 이를 통해 스마트선박 관련 보안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관리 프로세스를 지원한다. 이는 보안 위협의 사전 감지 및 대응 능력을 크게 강화하며, 국제 규정 준수와 선박 운영 신뢰성 제고에 기여한다.
김성환 쿤텍 AIA사업팀 이사는 “스마트선박이 자율선박으로 발전하면서 사이버보안 및 복원력 기술 기반의 보안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쿤텍은 이번 과제를 통해 선박 전 생애주기에 걸쳐 적용 가능한 사이버 복원력 플랫폼을 구축하여 스마트선박과 자율선박의 보안 신뢰성을 강화하고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쿤텍의 사이버 복원력 모델 기반 보안 기술 개발은 스마트선박의 보안 취약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시하고 있다. 취약점 탐지와 모니터링 기술을 결합한 플랫폼 아키텍처는 국제적인 스마트선박 보안 기준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 쿤텍-ETRI, HW·SW 공급망 통합 보안 솔루션 '이지스' 고도화...취약점 탐지 강화
- 진화하는 사이버戰, AI·SDN 기반 '가상 네트워크 전장 자가 구현 기술'로 대응
- 쿤텍-수산ENS, 한수원에 ‘임베디드 가상화 솔루션’ 공급
- "기업의 최우선 3대 해결과제, 사이버 보안·AI·클라우드 도입"
- 쿤텍, 5G 사이버 보안 위협 대응 "기만기술 기반 보안 솔루션" 상용화 성공
- 쿤텍-고려대, 사이버 레질리언스 중심 지능형 로봇 보안 기술 개발 협력
- 크래프트 CMS에 심각한 제로데이 취약점 발견
- 임베디드 시스템 변경 필요없는 쿤텍 ‘전투기 FLCC 시뮬레이터’
- 오픈소스 진영, ‘EU 사이버 복원력법’ 대응 적극 지원
- 쿤텍, 가상화 솔루션 '패스트브이랩스'로 일본 시장 본격 진출
- 쿤텍-디스페이스 코리아, SIL 기반 소프트웨어 검증 환경 구축 협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