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은 세계에 긍정적인 변화를 촉진시키고 있으며, 특히 빠른 속도로 혁신할 수 있는 민첩성(agility)을 바탕으로 다양한 국가에서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하여 지속 가능 발전 과제를 해결하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잠재력으로 세계의 많은 기업들이 한국의 스타트업을 찾고 있다.

온라인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기업 더스타트업버디(The Startup Buddy)가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와 함께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 달성을 위한 SDG 혁신 로드쇼(SDG Innovation Roadshow)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AWS에서 AWS 크레딧과 기술 지원 제공을 통해 후원하는 이번 SDG 혁신 로드쇼에서는 SDG(UN 지속가능발전목표;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이행하는 아태지역 공공 부문 스타트업을 위한 기조연설, 스타트업 패널 토론, 네트워킹 세션이 진행되며, 참여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기술 리소스, 멘토링 및 교육, 투자자 및 잠재 고객과의 네트워킹 기회 등을 포함한 공공 부문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이 지원된다. 

SDG 혁신 로드쇼는 2022년 5월 25일 싱가포르 지역 론칭 행사를 시작으로 한국(6월 30일과 7월 1일), 호주 및 뉴질랜드(7월 28일), 아세안(8월 25일), 일본(11월 11일)에서 현지 행사를 통해 아태 지역 전역에 출범한다. 모든 행사는 더스타트업버디의 온라인 컨퍼런스 플랫폼에서 비대면 세션을 개최하고, 이를 현지 AWS 사무실에 초대된 오프라인 참석자를 대상으로 실시간 스트리밍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번 로드쇼의 초청 연사는 연설을 통해 참석자들이 클라우드 혁신을 SDG, 특히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진행 중인 코로나19 팬데믹 회복 상황에서 보건, 교육, 스마트 도시 관련 과제 해결을 위한 역량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2022년 6월 30과 7월 1일에 진행되는 첫 SDG 혁신 로드쇼에는 박종욱 뉴트리션코트 부사장, 이동훈 큐에스택 대표, 옌 유메이(Yan Yumei) 토이코스 이사, 소요한 키키아이 실장, 아가르왈 판카즈(Pankaj Agarwal) 태그하이브 대표, 이성파 링글 공동대표, 윤성혜 렛츠랩 대표, 최지영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실장 등의 초청 연사가 참석했다.

싱가포르에서 설립된 더스타트업버디는 전 세계 3000명 이상의 기업가, 1500명의 투자자, 130명의 스타트업 멘토를 스타트업과 연결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로 구현하도록 지원하는 단체이다. 더스타트업버디는 처음으로 AWS의 공공 부문 스타트업 프로그램 2개를 통해 지역 내 유망한 스타트업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보건, 디지털 정부, 스마트 시티, 농업 분야의 솔루션을 구축하는 초기 단계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AWS 스타트업 램프(AWS Startup Ramp)와 AWS 클라우드에 차세대 온라인 학습, 분석, 캠퍼스 관리 솔루션을 구축하는 에드테크(EdTech, 교육기술) 기업가를 위한 AWS 에드스타트(AWS EdStart)가 이에 해당한다. AWS 스타트업 램프는 2021년 9월부터 국내 서비스를 시작했다. 두 프로그램 모두 공공 부문 고객을 위한 혁신에 주력하는 스타트업이 AWS 크레딧을 통한 재정 지원, 기술 리소스, 기술 교육 및 지원, 글로벌 전문가 커뮤니티와의 교류 등의 혜택을 통해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30 지속 가능 발전 의제는 2015년에 모든 UN 회원국이 채택한 의제로, 17개의 SDG로 구성된 공통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인류와 지구에 평화와 번영을 가져오기 위해 기술 활용 및 혁신 이행을 긴급하게 촉구한다.

새뮤얼 해리스(Samuel Harris) AWS 아태지역 공공부문 스타트업 총괄은, “”고 말했다. 이번 로드쇼는 기업가들이 기후 변화 대처와 환경 보호를 위해 노력하는 동시에 보건과 교육을 개선하고 금융소외자(unbanked)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불평등 완화와 경제 성장 가속화에 기여하는 새로운 디지털 솔루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전문가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새뮤얼 해리스 총괄은 “AWS는 의료, 정부, 교육, 비영리 단체 등 다양한 산업에서 공공 부문 임무를 지원하는 스타트업이 혁신적인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AWS 에드스타트와 AWS 스타트업 램프를 통해 기업가가 멘토십, 기술, 재정 지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조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전념하고 있다”며 “장차 스타트업은 지속 가능한 녹색 기술 발전의 선두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며, AWS에서는 스타트업과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는 지속 가능한 솔루션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한 준비가 되어 있다. 지속 가능성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네트워킹 및 학습 기회인 이번 로드쇼를 통해 다양한 이해 관계자의 의견을 경청하고, 새로운 지식을 배우고 협력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더스타트업버디는 2021년에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확장 가능한 탈 탄소화 솔루션 기업을 기업가를 지원하는 싱가포르의 창업 단계(seed-stage) 벤처 펀드, 제로 에미션 펀드(Zero Emissions Fund)를 출범했다.

더스타트업버디 CEO 겸 창립자 로빈 툴링스(Robin Teurlings)는 “AWS와 협력하여 새로운 교육, 보건, 지속 가능성 분야에서 혁신의 새로운 물결을 만들어 나가는 스타트업을 지원할 수 있어 영광이다”라며 “이번 로드쇼는 보다 많은 기업이 클라우드 기술을 적용하여 솔루션 확장(scaling solutions) 방법을 자세히 파악하고 멘토의 전문 지식을 활용하여 지역 전반에 걸쳐 지속 가능한 신규 비즈니스를 구축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이는 더스타트업버디의 2016년 첫 온라인 액셀러레이터를 출범했던 당시의 핵심 사명과도 일치한다”고 말했다.

이번 로드쇼에 참가하는 스타트업 큐에스택(QSTAG)은 자가 진단(At Home Testing)를 통해 공공의료 부문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큐에스택은 스마트폰으로 분석 가능한 자가 진단의료기기를 이용하여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존의 병원 시스템을 보완하는 형태의 협력 비지니스 모델로 의료 시스템의 디지털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큐에스택의 솔루션은 QR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환경, 촬영 조건) 등을 파악하고 정확한 분석 기술에 기반하여 개인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의료 서비스를 시행한다. 대표적으로 국내 학생 대상 의무 소변 검사의 경우, 개인 진단 키트 배포 형태로 바꾸어 비대면으로 진행함으로써 의료비 절감에 기여하였다. 큐에스택은 AWS 도입으로 전 세계에서 지원 가능한 안정적인 서버 운용과 다양한 나라의 의료시스템에 대한 보안사항을 충족할 수 있게 되었다.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의 학생들이 학업을 중도에 포기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교실용 커뮤니케이션 솔루션 클래스 사티(Class Saathi)를 개발한 태그하이브(Taghive)도 이번 로드쇼에 참가한다. 클래스 사티는 블루투스 비콘(BLE Beacon) 기반의 스마트폰 연동 클리커(Clicker) 솔루션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스마트 러닝 앱을 통해 교사와 학생 간의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제공한다. 이를 기반으로 학생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고 학업성취도를 높여 학습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태그하이브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판매를 통한 매출 증대와 어플리케이션 유저 확보에 대한 어려움을 AWS 클라우드 도입으로 극복했다.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국과 인도 개발자 간의 협업 속도 및 애플리케이션 사용 속도 300% 개선을 포함한 사용자 환경 개선으로 35만 건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와 650만 개 이상의 누적 문제 풀이 건수를 확보했다. 태그하이브는 6월 30일 에듀테크 패널에 참여한다.

기술 스타트업, 혁신 추진가, 지속 가능성 지지자, SDG를 사내 미션의 일부로 포함하는 공공 및 상업 부문 조직은 누구나 올해 로드쇼에 참여가 가능하다.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고 현재 모든 로드쇼 세션에 참가 등록할 수 있다. 더스타트업버디 및 AWS 공공부문 스타트업 프로그램 지원을 원하는 스타트업은 링크에서 AWS 에드스타트의 경우 "AWSEdStart2022"를, AWS 스타트업 램프의 경우 "AWSStartupRamp2022"를 프로그램 코드로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