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섬웨어는 사용자의 동의 없이 시스템에 설치되어서 무단으로 사용자의 파일을 모두 암호화하여 인질로 잡고 금전을 요구해 기업이나 개인에게는 매우 악질적이다. 일반적인 PC는 물론 서버, 모바일, DSLR에서까지 현존하는 거의 모든 운영체제에서 활동한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원격 및 재택근무 환경으로 변하자 윈도우 RDP(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 취약점을 이용해 시스템에 침투한 후 파일을 암호화하고, 버전에 따라 해당 파일의 확장자를 ‘.hive’ 또는 랜덤한 문자열로 변경하는 하이브(Hive) 랜섬웨어 위협이 높아졌다. 다행히 하이브 랜섬웨어 버전 1부터 4까지 암호키를 복구할 수 있는 도구가 나왔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이원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와 함께 올해 3월에 하이브 랜섬웨어 버전1 복구도구를 배포한 후 다양한 변종에 대한 추가적인 암호학적 분석을 통해 버전4까지 복구 가능한 ‘하이브 랜섬웨어 통합 복구도구’를 세계 최초로 개발·배포하여 하이브 랜섬웨어 피해복구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하이브 랜섬웨어 통합 복구도구는 특정 경로에 있는 공격자가 암호화한 암호키를 이용하여 감염된 랜섬웨어의 버전을 자동으로 식별한다. 이는, 피해자가 해당 암호키의 파일 확장자와 크기를 보고 감염된 랜섬웨어 버전을 직접 확인해야 하는 이전 복구도구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였다.
통합 복구도구를 사용하려면 감염된 파일과 감염되지 않은 원본 파일이 여러 개 필요하다. 원본 파일은 감염된 PC에 설치된 프로그램과 동일한 버전을 다른 PC에 재설치하여 획득하거나 이메일을 통해 송·수신한 파일, 이동식 저장장치에 있는 파일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다.
감염된 파일과 감염되지 않은 원본 파일의 개수 및 파일 크기에 따라 암호키 복구 확률이 변화하는 만큼,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능한 많은 파일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확보된 암호키를 통해 감염된 파일에 대하여 확률적으로 복구가 가능하다.
KISA에서 개발한 랜섬웨어 복구도구는 사용 매뉴얼과 함께 암호이용활성화 누리집(seed.kisa.or.kr)에서 다운받을 수 있으며, 관련해 도움이 필요한 경우 이메일(block_128@kisa.or.kr) 또는 전화(국번없이 118)를 통해 문의할 수 있다.
KISA 이성재 융합보안단장은 “전 세계적으로 랜섬웨어 공격에 의한 금전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KISA는 신속하게 랜섬웨어 복구도구를 개발 및 배포하여 랜섬웨어 피해 확산을 줄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온프레미스에서 걱정없이 클라우드 사용하세요!
- 베리타스-킨드릴, 사이버 위협 대응 및 복구 솔루션 파트너십 발표
- 멘로시큐리티, 크라우드XDR 얼라이언스 합류
- 랜섬웨어만 골라 막는 ‘인텔리전트 데이터 서비스’ 등장
-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 환경은 "보안성·유연성"이 중요
- [RSA 2022] 멀티 클라우드 보안의 시작, 공격자 원천 차단부터
- 클라우드 SaaS 보안 서비스로 기업 환경 더 안전해져
- “10개 기업 중 8곳 이상, 사이버 공격 당했다”
- 중소기업 사이버 위기 대응능력 강화 절실...모의 훈련 참여도 필요
- 돈내고도 소용없는 랜섬웨어, 최적 복구 프로세스를 수립하려면?
- KISA, 랜섬웨어 피해 최소화 위한 ‘랜섬웨어 레질리언스 컨퍼런스’ 개최
- KISA, ‘데이터보안법제의 최근 이슈와 과제’ 세미나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