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신형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 6’를 세계 최초로 공개하고 승용에서 고성능 모델, 상용차까지 확장한 전기차 라인업 구축 및 전동화 체제 전환 가속을 통한 전기차 시장 선도 계획을 14일 밝혔다.

현대차는 14일 벡스코에서 열린 ‘2022 부산 국제모터쇼(이하 부산 모터쇼)’ 보도 발표회에서 현대차 전기차 전용 브랜드 아이오닉의 두 번째 모델 아이오닉 6의 실차를 최초로 공개하고, 전기차 라인업 구축 계획 및 전동화 비전을 발표했다. 

현대자동차의 새로운 전기차 '아이오닉 6'
현대자동차의 새로운 전기차 '아이오닉 6'

지난해 성공적으로 출시된 아이오닉 5에 이어 현대차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적용한 두 번째 모델인 아이오닉 6는 ‘무한한 잠재력을 깨우는 사용자 중심의 공간 경험 제공(Mobile Personal Studio)’라는 개발 콘셉트로 점차 다양화하는 고객들의 니즈에 부합하고자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전동화 경험을 전달하는 모델이다.

전동화 시대 현대차의 새로운 디자인 유형인 ‘일렉트리파이드 스트림라이너(Electrified Streamliner)’가 최초로 적용된 아이오닉 6는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한 유선형의 디자인, 현대차 역대 모델 중 최저 공력 계수(CD 0.21) 등 기술과 미학의 감성적 융합을 보여준다.

국내 전기차 시장에서 최상위권에 속하는 수준인 1회 충전 시 최대 524㎞의 주행 가능 거리를 달성했다(2WD 롱레인지 18인치 기준). △EV 성능 튠업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 △주행 몰입감을 높여주는 e-ASD(전기차 액티브 사운드 디자인) △듀얼 컬러 앰비언트 무드램프 등 첨단 편의 사양 및 400V/800V 멀티 급속 충전 시스템 △V2L이 선사하는 새로운 전기차 경험 등을 통해 SUV 중심이던 국내 전기차 시장에 새로운 반향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현대자동차 유원하 국내 사업본부장은 “새로운 이동 경험을 제공하는 아이오닉 6의 감성과 우수한 주행 성능 등 아이오닉 6의 차별화한 상품성을 고객들이 체험할 수 있도록 내가 만드는 세상이라는 슬로건으로 고객과 소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기차 시대, 다양한 고객 니즈 만족하는 최적의 전기차 라인업 구축

현대차는 전기차 시대의 ‘First Mover’로서 기존에 없던 차별화한 ‘디자인 타이폴로지’와 ‘스마트 스페이스’에 기반한 새로운 고객 경험을 바탕으로 승용 및 고성능 모델, 상용차에 이르기까지 모든 라인업에 걸쳐 전동화 전환을 가속한다.

현대차는 우수성 및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는 전용 전기차 플랫폼 ‘E-GMP’를 2024년 출시 예정인 아이오닉 7까지 적용해 아이오닉 브랜드의 전기차 라인업을 완성할 계획이다. 전기차 시대에도 이어질 운전의 즐거움을 추구하는 고객 감성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N의 헤리티지를 계승한 고성능 전기차 라인업의 확대 또한 준비한다.

아울러 현대차는 이번 부산 모터쇼에서 엑시언트 수소 전기 트럭과 유니버스 수소 전기 버스를 공개하며, 국내 전동화 라인업을 상용까지 확장했다.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국내 판매에 돌입하는 엑시언트 수소 전기 트럭은 국내 전용 6×4 윙바디 모델로, 자체 테스트 기준으로 1회 충전으로 최대 약 570㎞ 주행할 수 있으며, 최고 출력은 350kW이다.

현대차는 각 지방자치단체와 협업을 통해 도로 청소차 등 공공 목적의 차량을 먼저 공급해 배기가스 배출 없이 공기를 정화하고 소음 감소 등 도시 환경 개선까지 기여하는 엑시언트 수소 전기 트럭의 친환경성을 알린다는 계획이다.

현대차가 일렉시티 수소 전기 버스 이후 두 번째로 출시하는 유니버스 수소 전기 버스는 하루 1회 충전으로 광역버스의 일상적인 주행할 수 있으며, 최고 출력은 335kW이다.

현대차는 부산 모터쇼 이후 부산·울산·경남(부울경) 시민들이 수소전기버스를 체험할 수 있도록 시범 운행하는 한편, 올해 안에 더 많은 지역으로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 현대차는 1월 환경부 및 부산, 울산, 경상남도와 ‘부산·울산·경남(부울경) 수소 경제권’ 내 수소 전기 버스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업무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김흥수 현대자동차 EV 사업부장은 “현대차는 전동화 시대를 선도하고 다양한 고객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해 최적의 전기차 라인업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동화 체제 전환 가속 및 전기차 충전 생태계 확장 등 인프라 구축 적극적으로 나서

현대차와 제네시스는 2021년 연간 14만대를 기록한 글로벌 전기차 판매 규모를 2030년 180만대 이상으로 확대하며 전기차 톱 플레이어(Top Player)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이 가운데 국내에서 2021년 4만2000대에서 2030년 33만대로 연평균 26%의 판매 성장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위해 아이오닉 6 포함 국내 기준 2022년 전기차 6개 모델(현대차 3종, 제네시스 3종)에서 2030년 13개 모델(현대차 6종, 제네시스 7종) 이상으로 전기차 라인업을 확대한다.

이와 같은 판매 규모 및 라인업 확대를 통해 현대차와 제네시스는 국내 전기차 판매 비중을 2021년 6%에서 2030년 45%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현대차는 이와 더불어 전기차 대중화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 개발 체계 완성 및 전용 차세대 플랫폼 확보에도 속도를 내 EV 라인업 확대와 상품성 강화를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새로운 전기차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전기차의 핵심 역량인 주행 가능 거리(AER)와 충전 성능은 최고 수준 경쟁력을 유지하는 한편, 혁신적인 신기술을 적용해 공간 활용성의 극대화를 꾸준히 추구하고 고객들의 다양한 이용 상황을 고려한 사용자 맞춤형 편의 기능도 강화할 예정이다.

현대차는 전기차 보급의 핵심 기반인 전기차 충전 솔루션, 고객 서비스 등 인프라 구축에도 적극적으로 나선다.

현대차는 지난해 4월 론칭 이후 회원 5만명에 육박하는 등 국내 대표 전기차 충전 서비스로 자리 잡은 현대차의 초고속 전기차 충전 브랜드 이피트(E-pit)를 고속도로에서 주요 도심지까지 확대해 총 500기를 구축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또 국내 기업들과 협력해 전기차 충전사업자 연합 네트워크 ‘E-pit Alliance’를 결성하고,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위한 친환경 펀드 조성 및 특수 목적 법인(SPC) 구성을 통해 2025년까지 도심의 초고속 충전기 5000기를 보급하는 등 전기차 초고속 충전 생태계 확장에도 적극 기여할 방침이다. 전기차 고객이 불편을 겪는 아파트의 충전 인프라도 2025년까지 40만기 수준으로 확충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현대차 대표이사 장재훈 사장은 발표를 통해 “현대차는 지난해 2045년 탄소 중립을 선언하고 휴머니티를 향한 진보(Progress for Humanity)를 향한 의지를 보여드렸다”며 “아이오닉 6를 통해 앞으로도 현대자동차가 추구하는 친환경 모빌리티를 실현하기 위해 전동화 경험의 진보를 지속해서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