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개발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애플리케이션 보안 관리 체계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생성AI 기술을 활용한 코드 자동화는 개발 속도를 높이는 한편 보안 및 규정 준수를 간과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개발 과정 전반에서 코드 보안을 강화하고 자동화된 보안 검증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AI 중심 개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 보안 태세 관리(ASPM) 플랫폼의 역할을 더욱 중시하고 있다.
AI 기반 ASPM 플랫폼 전문 기업 레짓 시큐리티(Legit Security)가 생성AI가 만든 코드의 보안을 강화하고, 개발자들이 빠른 속도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도 보안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AI 기능을 공개했다. 이번에 발표된 기능은 AI 디스커버러(AI Discovery), AI 컨텍스트(AI Context), AI 레미데이션(AI Remediation)으로 구성되며, 버튼 한 번으로 코드 내 취약점 탐색과 우선순위 지정, 수정할 수 있다.

레지트 시큐리티의 새로운 기능은 단일 자연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취약점 위치를 분석하고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게 한다. AI 레미데이션 인텔리전스는 코드 수정 작업을 기본, 반자동, 완전 자동화 방식으로 제공해 개발자가 보안 취약점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코드 내 보안 이슈를 빠르게 식별하고 자동화된 수정으로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이 기능은 최근 발표한 MCP 서버를 기반으로 작동하며 커서(Cursor), 윈드서프(Windsurf) 등 다양한 AI 코드 지원 도구와 연동된다.
AI 디스커버리는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SDLC) 내에서 AI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기능이 포함되었다. AI-BOM은 프로젝트 내 AI 구성 요소의 세부 내역을 제공하며, AIST는 OWASP에서 정의한 10대 AI 취약점을 기반으로 안전하지 않은 코드 테스트를 지원한다. 또한 플랫폼 내장형 AI 에이전트 Ask Legit은 자연어 기반으로 코드 검색, 취약점 우선순위화, 수정 작업을 지원하는 4개의 전문화된 에이전트를 제공한다.
레짓 시큐리티의 공동 창립자 겸 최고기술책임자 리아브 카스피(Liav Caspi)는 “AI 코드 개발이 급증하면서 보안과 규정 준수가 뒷전으로 밀릴 가능성이 커졌다. AI 레미데이션 인텔리전스는 이러한 환경에서 개발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기술”이라며 “새로운 기능은 프로젝트 개발 속도와 보안을 모두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발표는 AI 중심의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서 코드 보안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는 가운데, 레짓 시큐리티가 제공하는 AI 기반 ASPM 기능이 보안과 개발 속도의 균형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 보안 중심 코드 변경 관리로 애플리케이션 보안 자동화
- 제로 트러스트 기반 통합 CNAPP, 클라우드 보안 운영 복잡성 해결
- AI 기반 DAST로 애플리케이션 보안 진화...정확도·가시성·속도 모두 강화
- AI 코딩시 실시간 보안 통합하는 ‘애플리케이션 보안용 MCP 서버’
- ‘위협 중심 AI 에이전트’, 4차원 취약점 관리로 고도화
- ‘실시간 AI 컨텍스트’로 강화되는 ‘애플리케이션 보안 상태관리 솔루션’...보안 문제 ‘자동 우선순위 및 수정’
- 서비스형 취약점 관리 ‘VMaaS’, 오픈소스 SW 공급망 보안 해결
- 여러 취약점 동시에 ‘근본 원인 해결’하는 ‘애플리케이션 보안 상태 관리 플랫폼’
- 가장 중요한 워크플로에 숨겨진 위험...미션 크리티컬 업무 보안 플랫폼 절실
- 사이버 보안 검증 자동화 플랫폼...기업과 보안업체에 객관적 성능 검증 지원
- AI 에이전트로 피싱 99% 차단
- 맞춤형 AI 취약점 수정 에이전트...한 번의 클릭으로 조직별 코드 수정 제안
- ASPM과 DAST 결합 통합 보안 플랫폼, 기업 애플리케이션 보안 강화
- 팔로알토 네트웍스, 애플리케이션 보안 위협 선제 차단 ‘코어텍스 클라우드 ASPM’ 출시
- 취약점 탐지·랜섬웨어 예측 자동화 ‘AI 에이전트’..보안팀 노이즈 98% 감소.
- AI 기반 취약점 검증, 오탐 제거로 보안 효율 극대화
- 멀티 모델 연동 ‘MCP 서버’, AI 출력 일관성과 상호운용성 강화
- [기고]플랫폼 전환과 데이터 거버넌스, AI가 재편하는 법률 산업
- AI 코드 위험 실시간 가시화로 개발 속도·보안 강화
- AI 코드 생성 즉시 보안 내장...실시간 예방으로 백로그·위험 줄인다
- AI 코드 취약점, 앱 신뢰 붕괴...사용자 4명 중 1명은 서비스 포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