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보안 위협은 점점 더 교묘해지고 있다. 최근 발견된 신종 스파이웨어는 금융 보안 앱을 사칭해 안드로이드 기기에 침투한 뒤, 카메라·마이크·위치정보·비밀번호 등 민감 데이터를 탈취한다.
글로벌 사이버 보안 기업 카스퍼스키(지사장 이효은)가 러시아내 안드로이드 기기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스파이웨어 트로이목마를 발견했다고 18일 밝혔다.
카스퍼스키 연구진이 ‘루나스파이(LunaSpy)’라고 명명한 이 악성코드는 사회공학적 기법과 결합해 사용자의 금전을 탈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포된다. 금융서비스 관련 보안 앱으로 위장해 침투한 뒤, 카메라·마이크 녹화, 위치 추적, 화면 캡처, 메시지·브라우저 활동 모니터링, 비밀번호·2단계 인증 코드·사진·통화 기록·연락처·SMS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3천건 이상 공격 탐지...피해 확산 우려
카스퍼스키는 2025년 여름 동안 3천건 이상의 루나스파이 관련 공격을 탐지했다. 이러한 분석은 카스퍼스키가 지난 2025년 6월과 7월 2달간 안드로이드 기기를 탐지한 결과를 기반으로 한다.
이 공격은 주로 메시징 앱을 통해 유포되며, 피해자는 가짜 보안 알림에 속아 장치 보호를 명목으로 필수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최신 버전은 브라우저와 메시징 앱에서 비밀번호와 인증 코드를 가로챌 수 있도록 기능이 강화됐으며, 사진 탈취를 위한 코드 조각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루나스파이 및 유사한 트로이목마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공인된 앱 스토어 및 개발자 공식 웹사이트 등에서만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스마트폰 운영체제(OS) 및 설치된 앱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해 최신 보안 패치 적용 ▲안드로이드용 카스퍼스키(Kaspersky for Android)와 같은 보안 솔루션 설치 등을 권장한다.
관련기사
- 정보탈취 악성코드 국제 소탕 작전 ‘오퍼레이션 시큐어’ 가동
- 의료·보험 고가치 산업 정조준 랜섬웨어 ‘건라’...국내 기관까지 공격
- 암호화폐 노린 앱스토어 악성코드...iOS·안드로이드 감염, 사진 훔치는 新스파이 등장
- 이더리움 수수료 환불 사기 확산...지갑 연결 프로토콜 악용한 피싱 주의 필요
- 챗GPT 사칭한 사이버 위협 115% 폭증
- 산업시설 사이버 위협 대응 역량 강화 시급
- Z세대 표적 삼은 위장 악성 게임 파일 1900만 건...계정 탈취·다크웹 거래까지
- "산업용 OT, 해킹 한 번에 500만 달러 증발… 보안 공백이 치명타 된다"
- 260만 건 돌파한 국내 웹 사이버 공격, 방심은 금물
- 실전형 사이버보안 인재 양성, 글로벌 CTF 대회로 역량 검증
- 정부·외교·군사 기밀 노린다...아태지역 전방위 확산되는 APT 공격
- AI 기반 통합 모빌리티 관리, 비용 절감과 보안 강화를 동시에
- 양자컴퓨팅 보안 위협 현실화...암호 해독·블록체인 무력화 대비 필요
- 러시아 랜섬웨어 ‘올드그렘린’ 재개...수천억 피해 현실화
- “SMS까지 확장된 딥페이크 탐지, 기업 보안 통합 방어막 구축
- 로컬 위협 급증...USB 통한 감염 36%↑, 내부 보안 관리 ‘경고등’
- AI·클라우드 확산에 금융 보안 위협 급증...“혁신 속도만큼 방어도 진화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