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데이터베이스(DB) 운영은 설치와 확장, 백업 관리까지 자동화된 관리 체계가 필요하다. 특히 쿠버네티스 기반 환경에서 안정성과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는 DB 운영 기술은 기업의 운영 효율성과 서비스 안정성을 높이는 핵심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오픈소스 DB 전문 기업 큐브리드(대표 정병주)가 쿠버네티스(Kubernetes)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 설치·운영·백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큐브리드 오퍼레이터(CUBRID Operator)’를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깃허브(GitHub) 저장소 ‘큐브리드/큐브리드-오퍼레이터’를 통해 오픈소스로 배포되며,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의 데이터베이스 배포 및 운영 효율성을 높인다.
큐브리드 오퍼레이터는 쿠버네티스의 오퍼레이터(Operator) 패턴을 적용해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의 생성·관리·확장을 자동화한다. 사용자는 YAML 기반의 사용자 정의 리소스(CRD)를 작성하는 것만으로 DB를 배포할 수 있으며, Helm 차트를 통해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주요 기능으로는 ▲데이터베이스 자동 배포 ▲마스터-슬레이브 구조 기반 고가용성(HA) 지원 ▲자동 백업 및 복구 스케줄링 ▲스케일링(확장/축소) ▲상태 모니터링이 제공된다. 이는 수작업 중심의 데이터베이스 운영 부담을 줄이고, 데브옵스(DevOps) 및 ML옵스 환경에서도 유연하게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Go 언어로 구현됐으며, 깃허브 액션을 통한 지속적 통합(CI) 환경을 제공한다. 코드 정적 분석, 포맷 검사, 빌드 검증 등 품질 관리 프로세스가 자동화돼 있어 외부 기여자도 쉽게 참여할 수 있다.
큐브리드 오퍼레이터에 관련된 설치 가이드, API 레퍼런스, Helm 차트 문서는 현재 깃허브 저장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아파치 2.0(Apache 2.0) 라이선스로 누구든지 자유롭게 활용이 가능하다.
큐브리드 정병주 대표는 “자동화된 배포와 복구 기능으로 운영자가 직접 개입하는 시간이 줄어들고, 인적 오류로 인한 장애 가능성도 최소화할 수 있다.”라며 “데이터베이스 운영이 더 이상 복잡한 전문 인력의 영역이 아니라, 쿠버네티스 환경의 자동화된 표준 관리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품 혁신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확장 가능한 GPU 클라우드 GPUaaS’...AI 학습·추론·RAG 성능 강화
- 큐브리드, 전국 8곳 지자체 평생학습플랫폼 구축에 DBMS 공급
- ‘AI GPU 어플라이언스 컨트롤러’...온프레미스에서도 유연한 AI 인프라 제공
- AI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자동화...멀티클라우드 시대의 쿼리 최적화와 보안 혁신
- 국내 첫 클라우드 엔지니어링 오픈 프로젝트 공개...클라우드브로, 1500명 모인 ‘커뮤니티 데이’ 성료
- AI가 학습·결정·실행하는 자율 자동화 플랫폼, 기업 운영 효율 극대화
- AI 기반 인프라 거버넌스 플랫폼, 쿠버네티스 운영 보안·규정 준수 완전 자동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