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시장분석, 컨설팅 기관인 인터내셔날데이터코퍼레이션코리아(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Korea, 이하 한국IDC)는 최근 발표한 국내 PC 시장 연구 분석에서 2022년 3분기 국내 PC는 전년 대비 6.2% 감소한 127만대를 출하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분기 하락 폭인 -3.9%보다 더 큰 하락세이다. 국내 커머셜 부문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 등 경기 불확실성 증가에 따른 소비 심리의 위축이 컨수머 시장 감소를 야기해, 전반적인 시장 축소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시장별로 살펴보면, 국내 컨수머(가정) 시장은 경기 둔화로 인한 소비 심리 감소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전년대비 -17.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내 커머셜(공공/교육/기업) 시장은 교육청의 스마트 디바이스 보급, 경찰청과 군부대 등 공공 부문의 대규모 입찰, 기업의 사무실 복귀 인력을 위한 노후화된 PC 교체 등에 힘입어 전년대비 8.1% 성장을 기록하였다. 나아가 글로벌 추세를 봤을때 컨수머 시장의 경우 전년대비 -13.9% 하락하였으며, 커머셜 시장도 이와 마찬지로 -16.9% 감소세를 보였다. 글로벌 기조와는 상이하게 국내 커머셜 시장이 상대적으로 성장을 보인 요인에는 교육 부문의 성장이 비교적 견고하기 때문이다. 국내 교육 부문은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스마트 기기의 지속적인 보급에 힘입어 PC는 전년 동기대비 44% 성장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별로 살펴보면, 컨버터블 노트북은 14만대 출하하여 전년 대비 약 1.5배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 부문의 크롬북 도입 확대와 더불어 기업 시장을 중심으로 휴대와 이동, 펜 입력 등 직원의 업무 능률 향상을 위한 프리미엄 컨버터블 제품 활용 증가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애플의 M2 프로세스를 탑재한 맥북에어 출시는 <15mm 울트라슬림 물량 확대에 기여하였다. 15<18mm 울트라슬림 제품은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12형부터 17형에 이르기까지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화면을 선택할 수 있으며, 슬림 베젤을 적용해, 노트북 크기도 줄어드는 장점이 있어 수요가 견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내 PC 시장은 수요의 약화로 매출 규모의 확대보다는 안정적인 수익 확보가 요구되는 추세다. 온라인 수업, 하이브리드 근무, 게임, 엔터테인먼트, 컨텐츠 제작 등 사용 목적에 맞춰 제품을 브랜딩하고, 고객 접점을 확대하기 위해 보다 세분화된 채널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국IDC 권상준 이사는 "다양한 소비자 요구 사항을 빠르게 수용하고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고객과의 접점에 있는 채널의 역할이 중요하다. 고객을 이해하고 공감을 기반으로 사용자 경험을 증진할 수 있는 PC와 서비스, 솔루션을 제공해야 한다”며, "제품과 시장별로 채널을 전문화하고 관련 업종과 연계해 고객에게 향상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불황 속 국내 IT 서비스, 전년 대비 3.3% 성장 전망
- 커지는 디지털 경제, 새로운 위협·취약성으로 사기 위험도 높아
- 2022년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 전년 대비 7.8% 성장... 7조 1489억 원 전망
- 2022년 국내 빅데이터·분석 시장 전년 대비 9.9% 성장
- 2022년 상반기 국내 스마트폰 시장 전년 대비 7.8% 감소
- 가정용 PC 시장 약화로 국내 PC 시장 전년 대비 3.9% 감소
-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 17.8% 성장해 3조 226억원 규모 형성
- 기업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활용 증가로 국내 에지 컴퓨팅 시장 확대될 것
- 아태지역 협업툴 시장, 2026년까지 연평균 성장율 10% 고공 행진 지속
- 2026년, 중소기업의 30% 이상이 자동화와 디지털 툴에 투자할 것
- 국내 PC 시장 전년 대비 4.7% 감소...교육 시장만 유일한 성장세 보여
-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의 마이크로서비스가 애플리케이션 현대화의 핵심
- 2022년 국내 태블릿 시장 전년대비 6.9% 성장… 2022년 4분기부터 역성장
- 2022년 하반기 국내 스마트폰 시장 713만대 출하, 전년 대비 14.5% 감소
- 한국레노버-구글코리아, 미래 교육에 대한 트렌드 공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