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시장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인터내셔날데이터코퍼레이션코리아(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Korea, 이하 한국IDC)는 최근 발표한 국내 PC 시장 연구 분석에서 2022년 국내 PC 시장은 전년 대비 4.7% 감소한 578만 대를 출하하며 2018년 이후 4년만에 역성장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팬데믹 기간동안 PC 시장의 성장을 견인해온 온라인 수업과 재택 근무의 니즈가 상대적으로 약화되고 경기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소비 심리가 위축되며 시장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2022년 4분기는 소비자 지출 및 기업 투자 감소, 판매 채널 재고 증가에 따른 출하량 확대의 어려움, 제품 구매 기업의 시장 비용 절감을 위한 소량 발주와 구매 연기까지 더해져 전년 대비 -29.7% 급감한 92만 대 출하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시장별로 살펴보면, 가정 시장은 금리 인상과 고물가, 가계 부채 증가 여파로 전년 대비 15.8% 감소해 하락폭이 가장 큰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게이밍 수요는 견조하게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와 함께 휴대성과 이동성을 제공하는 울트라슬림 노트북을 선택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공공 시장의 경우 PC 물량의 큰 변동은 없었지만, 망분리 등을 통해 보안을 확보하고 언제 어디서나 대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 구축에 투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교육 시장은 전반적인 시장 기조와 다르게 디지털 교육 혁신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보급 사업을 전개하며 노트북 수요가 전년대비 1.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시장의 경우 포스트 팬데믹으로 접어들면서 재택근무 필요성이 비교적 약화됨에 따라 노트북 수요가 소폭 감소했다. 하지만 해당 시장은 하이브리드 업무 모델 도입과 함께 직원 역량과 경험을 증진시킬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 배포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모바일이나 거점 오피스 구축과 더불어 디바이스 최적화, 핫데스크, 협업 공간, 보안 확보 등 사무 환경의 현대화에 주목하고 있다.

한국IDC 권상준 이사는 "2022년 PC 시장이 하락으로 반전됨에 따라 관련 업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그 어느때보다 사용자 경험 기반의 PC 브랜딩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체험형 리테일 매장, 브랜드 몰, B2B 채널 등 다양한 고객 접점에서의 스토리텔링 기반의 가치 전달이 필요하다"며, "PC는 컴퓨팅 파워, 배터리 사용 시간, 경량화, 해상도 등 성능 개선과 함께 태블릿, 스마트폰, 모니터 등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와 심리스한 연결, 컨텐츠 공유, 그리고 서비스로서의 디바이스 배포 등을 제공하는 등 차별화된 브랜딩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2022년 3분기 국내 PC 127만대 출하, 전년 대비 6.2% 감소
- 2022년 상반기 국내 스마트폰 시장 전년 대비 7.8% 감소
- 가정용 PC 시장 약화로 국내 PC 시장 전년 대비 3.9% 감소
-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의 마이크로서비스가 애플리케이션 현대화의 핵심
- 13세대 인텔 프로세서와 지포스 RTX 40 시리즈로 재탄생한 '델 XPS 시리즈'
- 2022년 국내 태블릿 시장 전년대비 6.9% 성장… 2022년 4분기부터 역성장
- 2022년 하반기 국내 스마트폰 시장 713만대 출하, 전년 대비 14.5% 감소
- 국내 PC 시장, 2023년 1분기 158만대 출하, 두 분기 연속 하락
- 스타일리시한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 'Razer Blade 16, 18 Mercury'
- 지속 하락세 보이는 국내 스마트 커넥티드 디바이스 시장, 올해 7.4% 감소 예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