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트윈 기술은 현실의 데이터를 활용한 가상공간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실에서의 문제를 발견하고 대비하거나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제조·산업뿐만 아니라 환경, 교통, 도시문제와 같은 공공 분야에서도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이번에 국내 연구진이 ‘디지털 트윈’ 기술을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수립을 지원하는데 적용하는 사례가 등장했다. 특히 연구진은 핵심 기술을 개발을 완료하고 실증 서비스에 들어간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하 ETRI)은 세종특별자치시와 함께 10월부터 3개월간 과학적 정책 수립을 위한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 실증 서비스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ETRI가 개발한 정책 수립을 위한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 실증 서비스는 ▲세종시 공영자전거 운용 효율화 ▲공영자전거 재배치 효율화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과 연계한 주요 사회지표 예측 등 3가지다.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한 시뮬레이션이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선 정확한 데이터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성 등 제약이 있어, 일정 부분에만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할 수 있었다.
ETRI 연구진은 ▲에이전트 기반의 도시 모형 모델링 ▲정책 조합 도구 소프트웨어 ▲델타 시뮬레이션 엔진 등 과학적 정책 결정 지원을 위해 필요한 도시 행정 디지털 트윈 핵심 기술을 개발해 이를 보완했다.
또한, ETRI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KAIST, 한밭대학교, 바이브컴퍼니 등 공동연구기관과 세종특별자치시가 힘을 합쳐 도시 행정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했다. 아울러 행위자 활동모델 기반의 가상 세종 디지털 트윈을 개발해 실제 정책 수립 지원을 지원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진은 2020년부터 현재까지 총 6건의 실제 정책 수립을 지원해왔다.
▲세종시 공영자전거 운영 정책 효율화(2020.7.) ▲세종-대전 간 광역급행버스 노선 신설 효과 분석(2021.7.) ▲세종시 공영자전거 거치소별 적정 자전거 배치 예측(2021.11.) 등이다.
이번에 제공하는 실증서비스는 단순히 정책 수립 지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서의 상황 변동과 연계해, 정책 운영 방향의 시뮬레이션 결과까지도 정책 수립·운영 담당자에게 제공한다. 이처럼 실제 환경에서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정책의 수립과 운영을 지원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ETRI 정영준 지능시뮬레이션플랫폼 연구실장도 “ETRI가 개발한 데이터 기반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 기술이 실제 세종시의 정책 수립·운영 현장에 적용된 뜻 깊은 사례다. 향후 기술을 고도화하고 타 지차체에도 확산해 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참조 사례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향후 세종시의 쓰레기 처리 시스템인 ‘자동크린넷’ 운영 효율화 실증서비스를 추가하고, 이번 3개 실증서비스에 대한 정책 담당자의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 시스템 구현을 위한 후속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엔비디아 지구 환경의 디지털 트윈 제작 나선다
- HPC 데이터센터 설계와 운용 위한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
- AI 기반 디지털 트윈으로 전기자동차 배터리 관리한다
- 쇼핑몰 사용자 경험 개선과 운영 최적화 위한 '디지털 트윈'
- GIS 솔루션과 디지털 트윈으로 구축하는 지속가능한 철도 인프라
- '양자기술 개발·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 정부가 직접 챙긴다
- 늘어나고 줄어드는 스트레처블 무기 반도체 소자 국내 개발
- AI 기술로 정밀도 높인 피부 부착형 스트레인 센서
- 국내 한국어 AI 연구에 획 그은 '엑소브레인' 10년간의 여정 마무리
- 국내 연구진, 차세대 UHD 핵심 기술, 5G 송수신 기술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