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28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북미 지상파 방송 그룹 싱클레어, SK스퀘어 산하의 미디어 테크 기업 캐스트닷에라(Cast.era)와 함께 MEC(Mobile Edge Computing)와 가상화 기술을 활용한 지상파 방송 송출에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시연은 워싱턴 D.C 인근 알링턴 지역에서 SKT ‘미디어 에지(Media Edge)’ 플랫폼이 적용된 ATSC 3.0 규격 전파를 활용해, 싱클레어 지역방송인 WIAV-CD를 통해 주행하는 차량과 통신을 주고받는 형태로 진행됐다. ATSC 3.0은 미국 디지털TV 방송 표준화 단체(ATSC)에서 제정한 UHD 방송 표준으로 영상, 음성에 데이터까지 추가해 주파수에 실어 나를 수 있어 빠른 속도로 고화질 영상 전송을 할 수 있다.
이번 시연에서는 차량 주행 중 안정적인 고화질 TV 방송과 함께 설정된 구역 도달 시 지역 맞춤형 데이터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빠르게 수신하는, ATSC 3.0 방송과 5G 통신이 결합한 차세대 융합 방송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이날 현장에는 데이비드 스미스(David Smith) 싱클레어 회장, 유영상 SK텔레콤 CEO, 캐스트닷에라(Cast.Era) 관계자 등이 참석해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는 한편 차세대 방송 서비스 관련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미디어 에지 플랫폼을 적용할 경우, 각 지역 방송국이 전용 장비 설치 등 대규모 투자 없이 범용 장비와 가상화 소프트웨어 시스템 활용만으로 북미 전역 수백 개의 지역 방송국의 방송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차세대 방송 서비스 도입에 따른 비용 부담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미디어 에지 플랫폼은 5G 네트워크를 통한 양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실시간 고화질 TV 시청은 물론 재난이나 비상 상황 실시간 알림, 지역 맞춤형 광고 서비스 등이 가능해 IVI(In Vehicle Infotainment) 서비스에 적합하다.
SKT는 5G MEC의 산업별 특화 서비스 ‘에지 클라우드(Edge Cloud)’ 중 하나로 미디어 서비스 제공에 활용되는 미디어 에지 플랫폼을 개발했으며, 방송국 송출 시스템을 가상화해 운영 효율성을 높였다.
캐스트닷에라는 SKT의 미디어 에지 플랫폼을 기반으로 ATSC 3.0 방송 송출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5월 KBS와 함께 세계 최초로 에지 클라우드 가상화 기술을 활용한 ATSC 3.0 지상파 방송 송출에 성공한 바 있다.
SKT는 싱클레어, 캐스트닷에라와 MEC 기술과 AI 반도체 사피온(SAPEON)을 활용한 방송 영상 고품질 변환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차세대 융합 방송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협력을 지속해서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관련기사
- 통신 3사, 28㎓ 대역 주파수 할당 취소되나…처분 변경 요청 없어
- 현대모비스, 싱클레어와 ATSC3.0 기반 차량내 방송 플랫폼 실증사업 추진
- SKT, 메타버스에 진심?...NTT도코모와 메타버스·6G·미디어 협력
- SKT-에릭슨, 6G 향한 AI 기반 무선망 "실시간 최대 성능 도출"
- SK텔레콤, '이프랜드'로 메타버스 경제시스템 생태계 구축·활성화 나선다
- SK텔레콤, 유리처럼 보이지 않는 안테나 공개
- SK텔레콤, 유무선 통합 허브 상용화로 5G 넘어 6G 대비한다
- 2026년 프라이빗 5G 시장 63억2000만 달러 전망
- [신년사] SKT, 'AI 컴퍼니' 비전 달성하겠다
- 가상화 SW 2033년 3000억 달러 전망…급성장 배경은?
- SK텔레콤-인텔, 5G망용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전력 절감 기술 공개
- AI 반도체로 더욱 향상된 고화질 VoD 서비스 제공한다
- “국내 AI 및 클라우드 시장 출사표 낸 지코어, 자신감 충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