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이동통신망 프론트홀(Fronthaul)에 적용되는 유무선 통합 허브 장비를 상용화해 네트워크 관리 역량을 강화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에 SKT가 상용화한 유무선 통합 허브 장비는 프론트홀 라우터의 일종으로, 하나의 장비로 5G, 4G, 유선 인터넷 등 여러 종류의 서비스에 이용되는 광 회선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강력하게 제어할 수 있다.
SKT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관련 기술 검증을 진행해왔으며, 올해 SK브로드밴드와 함께 5G·LTE 프론트홀이나 이더넷 기반 유선 인터넷 서비스에 유무선 통합 허브를 적용하는 테스트를 통해 상용화를 완료했다.
SKT는 향후 무선 서비스와 B2B, B2C 대상 인터넷 서비스를 종합 제공해야 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유무선 통합 허브를 확대 구축·운용해 나갈 계획이다.
SKT는 유무선 통합 허브를 활용해 프론트홀의 인터페이스 규격도 고도화할 예정이다. 현재 국내에서 기지국 장비 규격으로 사용되는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와 eCPRI(Ethernet-based Common Public Radio Interface)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으며, 향후 6G 규격도 수용 가능하도록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더넷 기반 인터넷을 활용하는 eCPRI 규격은 5G 서비스의 고도화에 유리한 방식으로, 세계적으로도 일반 규격으로 채택되는 추세다. 이런 기술은 인터넷 기반 신호를 기본으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6G로의 진화 측면에서도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성진수 SKT 인프라 엔지니어링 담당은 “향후 유무선 복합 서비스를 유연하게 수용하고 네트워크 인프라 관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5G 고도화와 6G로의 진화를 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SKT, 올 2분기 실적 '매출 4조2899억원, 영업이익 4596원'
- SKT, 신규 5G 요금제 출시...고객 선택권과 혜택 강화
- 2025년 5.5G 대규모 상용화 전망
- 차세대 5G 기술이 주도할 10년간 혁신의 핵심은?
- ‘5G 네트워크 인지형 서비스 보증’ 시대 개막
- 한국 제안 '5G 이동통신·양자암호통신기술' 등 ITU 국제표준 5건 채택 쾌거
- 6G 주파수 확보 위해 아태지역 공동대응 나선다
- SK텔레콤, 유리처럼 보이지 않는 안테나 공개
- NI-연세대학교-누비콤, 6G와 AI 기반 융합형 인재 양성 나선다
- SKT-에릭슨, 6G 향한 AI 기반 무선망 "실시간 최대 성능 도출"
- SKT, 메타버스에 진심?...NTT도코모와 메타버스·6G·미디어 협력
- SK텔레콤, 북미지역 미디어 에지 클라우드 기반 차량용 디지털 방송 시연
- [신년사] SKT, 'AI 컴퍼니' 비전 달성하겠다
- 2031년까지 가입자 데이터 관리 시장 규모 255억 달러 규모 형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