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제16차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혁신기술 기반의 거대신생기업을 창출하기 위한 '범부처 스케일업 연구개발(R&D) 투자전략'을 12일 발표했다.

지난 9월, 과학기술혁신본부는 정부연구개발(R&D) 30조 원 시대를 맞아 스케일업 연구개발(R&D) 지원체계를 마련해 국가연구개발 성과가 세계적 혁신기업 창출 등 경제적 성과로 연결되는 고리를 공고히 하고자 민간 전문가 및 관계부처와 협업해 ‘범부처 스케일업 연구개발(R&D) 전담반(TF)’을 구성했다.

전담반 운영 등을 바탕으로 ‘스케일업 연구개발(R&D)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통한 기저기술 거대신생기업 10개 기업 창출’을 목표로 설정하고, ▲민간 주도 및 참여 확대 ▲범부처 함께달리기 강화 ▲기업 지원방식 다각화 ▲생태계 중심의 지원 강화 등 4가지 기본방향을 제시했다.

먼저, 민·관 협업을 바탕으로 ▲국가전략기술 ▲탄소중립 ▲고령화 등과 같은 임무지향적 기저기술 분야에 전략적 투자로 사회문제 해결에 앞장선다. 민·관 역할분담을 바탕으로 마중물 효과를 촉진하기 위해 스케일업 정부연구개발(R&D) 투자를 강화하고, 연구개발과 연계한 정책기금 등을 통해 초기 혁신기업에 대한 자금을 중점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동시에 범부처 함께달리기를 통해 시작품·시제품·조달까지 전주기를 연계할 방침이다. 각 부처의 기술 데이터베이스(DB)에 빅데이터·인공지능을 적용해 유망기술 선별 및 유망기술 집단(Pool)을 구축하고, 민간과 공유 등을 바탕으로 사업화·기획창업 활동을 지원할 계획이다. 국가전략기술 분야 등의 글로벌 우수특허 창출·선점을 위해 표준특허 확보, 혁신기업의 지식재산권(IP) 종합전략 수립 및 국내·외 특허 출원·관리 등 지원 강화도 강화한다. 

혁신역량에 기반한 맞춤형 기업연구개발 지원체계 구축한다. 업력·매출액 중심의 지원구조에서 벗어나 부처별 특성을 고려한 기업 혁신역량 진단체계를 도입해, 기업의 혁신역량에 맞춰 전략적으로 지원을 확대한다.투·융자 연계형 연구개발(R&D) 신설·강화, 후불형·경쟁형·이용권형 연구개발(R&D), 기업 규모 등을 고려한 기업의 연구비부담비율 탄력적용 등 민간 주도에 기반한 혁신적인 기업 지원방식 도입·확대도 이어간다.

기술·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전주기 생태계 조성도 지원한다. 국가전략기술 분야 등을 중심으로 거점대학과 출연연 및 기업이 집적해 협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산·학·연 스케일업 밸리’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이종호 장관은 “정부연구개발(R&D) 30조원 시대를 맞아, 우리의 연구개발(R&D) 성과와 혁신역량을 바탕으로 스케일업 강국으로 도약해야할 시기”라며 “정부와 민간이, 그리고 관계부처가 긴밀하게 협력해 정부연구개발(R&D)을 통해 만들어진 유망기술 씨앗을 키워서, 세계적인 거대신생기업으로 꽃피울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