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총 18조 8686억 원 규모 과기정통부 ‘2023년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이 국회 본회의 의결을 통해 최종 확정됐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2022년도 18조 5737억 원에서 1.59% 증가한 2949억 원 증액된 규모로 과기정통부 4대 중점 투자 분야인 ▲미래혁신기술 선점 ▲인재 양성 및 기초연구 지원 ▲디지털 혁신 전면화 ▲모두가 행복한 기술 확산 실현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2023년도 정부 총 연구개발(R&D) 예산은 2022년도 29조 8000억 원에서 9000억 원 증액된 30조 7000억 원으로, 첫 30조 원 돌파다.

예산은 우주·반도체·인공지능·양자·이차전지·첨단바이오·차세대원전 등 혁신 선도 초격차 기술과 미래 도전적 기술에 중점 투자하는 한편, 청정에너지·저탄소 생태계·자원순환 등에 대한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녹색 대전환을 지원한다. 더불어 산업·공공 분야의 디지털전환 촉진 및 미래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내년 예산은 국정과제 실현의 기틀을 닦고, 전 세계적인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국가전략 기술을 확보하는 데 사용될 것”이라며 “기술개발 성과가 경기침체기 극복과 사회 문제해결에 이바지하는 혁신으로 이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세정 기자
cleaninglee@gttkorea.com
관련기사
- '양자기술 개발·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 정부가 직접 챙긴다
- '우주항공청' 설립 본격시동...우주 강국 기틀 마련
- AI·데이터 기반 ‘23년도 "디지털 공공서비스 혁신 과제(프로젝트)" 사업 공모 실시
- 국산 인공지능 반도체 드디어 날개 펼치나
- 우리나라에 가장 필요한 것은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
- 민·관·군 협력해 '디지털 인재강국·과학기술 강군' 만든다
- 범부처 합동 ‘디지털 전략반’으로 디지털 강국 도약 나선다
- 과기정통부, 전파분야 규제 개선으로 디지털 산업 발전 지원
- 정부기관 보유 미개방 데이터 분석·활용 위한 '데이터안심구역' 발표
- 과기정통부, 범부처 스케일업 연구개발투자전략 발표
- 과기정통부, 본격 디지털 인재 양성 위해 나선다
- 2023년 글로벌 반도체 칩 시장, "불황에도 희망은 있다"
- 우리나라 주도로 양자기술 표준화 기술위원회 설립 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