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0.6㎛(마이크로미터) 크기의 픽셀 2억 개를 탑재한 이미지 센서 ‘아이소셀(ISOCELL) HP2’를 출시했다.
‘HP2'는 ‘듀얼 버티컬 트랜스퍼 게이트(Dual Vertical Transfer Gate)’ 기술을 적용해 전하저장용량(Full Well Capacity)을 이전 2억 화소 제품 대비 최대 33%까지 높여 화질을 개선했다. 전하저장용량이 높아지면 각 픽셀이 더 많은 빛을 활용할 수 있어 기존보다 풍부한 색 표현이 가능하다. 듀얼 버티컬 트랜스퍼 게이트는 포토다이오드에서 회로로 전자를 이동시키는 수직 구조의 게이트를 2개 배치해 전자 신호 전달 효율을 극대화하는 기술이다.
HP2는 조도 조건에 따라 4개 또는 16개의 인접 픽셀을 묶어 수광 면적을 확대하는 ‘테트라 스퀘어드 픽셀(Tetra2pixel)’ 기술도 적용했다. 이 기술을 통해 어두운 날씨 또는 실내와 같은 저조도 환경에서도 1.2㎛(5000만 화소) 또는 2.4㎛(1250만 화소) 크기의 픽셀과 같은 수광 면적을 확보해 선명한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다.

또 HDR(High Dynamic Range) 기능 강화를 위해 기존 ‘스마트 ISO 프로’ 기술뿐 아니라 ‘듀얼 슬로프 게인(Dual Slope Gain)’ 기술도 새로 적용했다. 듀얼 슬로프 게인은 픽셀에 들어온 빛의 아날로그 정보를 서로 다른 2개의 신호로 증폭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 하나의 데이터로 합성하는 기술로, 센서가 표현할 수 있는 색의 범위를 넓혀 준다. 삼성전자는 이 기술을 통해 모바일 AP 지원 없이 이미지 센서만으로 5000만 화소의 HDR 촬영을 구현해 이미지 처리 속도를 개선했다.
HP2에는 2억 개 화소를 모두 활용해 위상차 자동 초점 기능을 수행하는 ‘슈퍼 QPD(Quad Phase Detection)’ 기능도 탑재됐다. 거실 밝기 약 100룩스 보다 100배 가량 낮은 밝기의 달빛 아래(약 1룩스)에서도 좌우뿐만 아니라 상하의 위상차를 이용해 빠르고 정확하게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이 밖에 딥 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리모자이크 알고리즘’을 적용해 초고화소 환경에서의 촬영 속도와 품질을 향상시켰다. HP2의 2억 화소 촬영 속도는 이전 제품 대비 2배가량 빨라졌으며, 초당 30프레임의 8K 해상도, 120프레임의 4K 해상도를 지원한다. 특히 사진 촬영과 동일한 화각에서 초고해상도인 8K 영상 촬영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센서사업팀장 임준서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아이소셀 HP2를 통해 고객 요구에 기반한 끊임없는 기술 혁신과 딥 러닝 기반의 화질 최적화 기술을 통해 지속 성장하고 있는 초고화소 이미지 센서 시장에서 리더십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삼성전자, 갤럭시 버즈2 프로와 워치로 스마트폰 카메라 사용성 확장
- 삼성전자, 5나노 기반 컨트롤러 탑재한 고성능 SSD ‘PM9C1a’ 출시
- [CES 2023] 삼성전자가 꿈꾸는 ‘맞춤형 경험 초연결 시대’
- [신년사] 삼성전자, "2023년은 ‘新환경경영전략’ 본격화 원년"
- [CES 2023]삼성이 키운 스타트업, CES서 빛나다
- 삼성전자, 글로벌 전략 거점 위한 베트남 R&D센터 설립
- 삼성전자, 사업 연속성 관리 체계 국제 표준 인증 획득
- 삼성전자, 암바렐라와 자율주행 차량용 5나노 반도체 생산 협력
- 산업현장 교육에 최적화된 딥러닝 기반 이미지 제어·분석 솔루션 'TIIS'
- AI 기반 휴대성·유용성·비행성 갖춘 ‘호버 카메라’로 색다른 촬영 즐기기
